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교육적 의의를 밝히고 이에 관한 구체적 교육 방법론을 모색함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대학 교양교육에서 독서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피고 한 학기 한 권 읽기가 가진 독서 교육적 의의를 고찰했다. 이를 토대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독서 교육 실현을 위해 한 학기 한 권 읽기 활동을 활용한 수업을 설계 및 적용해 그 구체적 양상을 살폈다. 연구자는 한 학기 한 권 읽기 활동을 활용하여 15주차의 수업을 ‘독서법 배우기’ – ‘함께 독서하기’ – ‘간접적 독서하기’ – ‘혼자서 독서하기’라는 4단계로 구성하고 각 단계별로 구체적 목표를 설정하였다. 교수자는 독서 관련 지식을 전달하는 전수자의 입장보다는 독서에 대한 긍정적 경험을 도출하도록 학습자를 돕는 조력자 역할에 집중했다. 도서 선정과 관련해 학습자는 책의 제목이나 표지, 디자인과 같은 요소뿐만 아니라 SNS나 베스트셀러 목록, 지인의 추천을 참고했으며 과거의 독서 경험이나 미디어 경험을 활용해 책을 선택하기도 하였다. 또한 자신이 선택한 책에 대해 공감과 성찰적 반응을 보였으며, 독서 내용을 자신의 미디어 텍스트 경험과 결합하여 새로운 이해나 감상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한 학기 한 권 활동을 활용한 교수자의 수업은 학습자 스스로 책을 선정하고 읽고 이를 동료 학습자에게 발표하는 과정을 통해 독서에 대한 긍정적 경험을 유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과도한 독서시간이나 과제 부여로 인해 학습자의 부정적 반응을 야기했다는 점에서 해당 수업 설계에 대한 정련화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reading one book at a time" as a university's liberal arts education and to explore specific educational methodologies. To this end, we will first look at how reading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nd examin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in the current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this, in order to realize the reading education expected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 class using one book reading activity per semester was designed and applied to actual classes to examine specific aspects. In order to foster an active attitude toward reading activities, the class consisted of four stages: "Learning Reading Method" - "Reading Together" - "Indirect Reading" - "Reading Alone" and set specific goals to be achieved at each stage. At each stage, the instructor focused on his role as a helper to help derive a positive experience of reading rather than the position of the transferor who delivers knowledge related to reading to the learner. On the other hand, learners used past reading and media experiences by referring to factors such as the title, cover, and design of the book, as well as recommendations from SNS, bestseller lists, and acquaintances. The instructor's class using one book activity per semester is meaningful in that it guided college student learners to experience positive experiences of reading by reading on their own, constructing the meaning of the book, and presenting it to fellow learners. However, more research is needed in that excessive assignments or reading time have also caused negative reactions from lear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