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상계』는 민족 문제를 우선시하고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제반 문제를 다룰 것을 표방하며 창간되었다. 『사상계』에서는 한국의 정치경제 체제를 표상하는 핵심적 이념인 자유와 민주가 다채롭게 논의되었다. 자유는 도덕, 정치, 경제의 다양한 차원에서 정의되었다. 민주는 자유와 결합해서 자유민주주의 담론을 형성했다. 국내외 정세에 따라 자유민주주의는 국가중심, 반공적 성향을 띠었다. 4.19혁명 이후에는 민주주의 실현에 대한 희망에 사상계 필자들도 고무되었다. 이에 따라 정치 주체에 대한 관심도 증폭되었다. 하지만 지식인을 제외한 사회계층에 대한 역할에 대해서는 제한적으로 보거나 부정적이었다. 박정희 집권 이후에는 민족과 민주주의라는 동일한 기표를 내세운 정부와 담론권 쟁탈전을 벌였다. 근대화를 지향하며 형성된 밀월관계는 한일협정이라는 민족적 사건을 계기로 결렬되었다. 그후 『사상계』는 반정부적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방하고 실천했다. 이는 『사상계』의 투쟁적 민주주의로의 전환이라 불린다. 하지만 이는 사실상 자유, 민주의 원칙에 대한 관철과 강조라기보다는 민족적 각성을 계기로 한 반정부적 태도 형성이라 할 수 있다. 『사상계』의 자유, 민주 담론과 정치 주체에 관한 견해, 4.19, 5,16, 한일협정에서 보여준 행보는 민주주의에 대한 불철저한 인식과 정치 주체 인식의 한계를 드러낸다. 이런 점에서 기존의 평가처럼 『사상계』가 한일협정 이후 민주주의 운동을 이론적 자양분 제공이라는 역할을 충분히 하지는 못했다. 본 논문에서 다룬 한일협정 시기까지 『사상계』의 사상적 상황은 한일협정 이후 저항 매체로 평가된 『사상계』를 반정부적 행보와 경력이 아닌 이전의 상황을 얼마나 극복하고 차이를 보였느냐에 근거해서 다시 사유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던져준다.


Sasang-Gye was founded with the aim of prioritizing national issues and addressing the country’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In Sasang-Gye, freedom and democracy, the core ideologies of Korea’s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were discussed in various ways. Here, freedom was defined in various dimensions of morality, politics, and economics, and democracy was combined with freedom to form the discourse of liberal democracy. Depending o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 liberal democracy was state-centered and anti-communist.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writers of Sasang-Gye were encouraged by the hope of realizing democracy. Interest in political subjects was also amplified. However, the role of social classes other than intellectuals was limited or negative. After Park Chung-hee came to power, they fought for discourse rights with the government, which claimed the same symbols of nationhood and democracy. The close relationship formed in the pursuit of modernization was broken by the national event of the Korea-Japan Agreement. Afterwards, Sasang-Gye openly expressed and practiced anti-government positions. This is called the transition to militant democracy. However, it is actually a formation of anti-government attitudes triggered by a national awakening rather than a commitment to and emphasis on the principles of freedom and democ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