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수업 평가에 대한 양적 접근 방식을 보완하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아이즈너의 교육적 감식안에 따른 수업 평가 준거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탐색한 수업 평가 준거로 중학교 3학년 국어 수업을 실제로 평가하여, 아이즈너 수업 평가방식의 가능성과 한계점을 찾고 수업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교육적 감식안의 5가지 차원에 따른 수업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도적 차원에서 교사는 의도적 학습 목표 이외에도 실제적 학습 목표를 고려한 수업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구조적 차원에서 인적, 시간적 구조에 있어서 문제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육과정적 차원에서 학습자의 흥미, 수준, 타 교과의 연계 등을 고려하여 수업이 설계되었지만 여전히 교사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진 부분이 있었다. 넷째, 수업 차원에서 교사의 발화는 크고 명료했고, 흥미로운 수업 자료를 가지고 수업을 진행했다. 애정을 가지고 학생들을 가르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학급 관리에서는 부족한 모습이 보였다. 다섯째, 평가 차원에서 개별 및 조별 피드백이 적절하게 이루어졌으나, 실적 과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참평가는 교실 상황에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와 같은 수업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감식안에 따른 총 19개의 평가 준거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by Eisner's educational connoisseurship,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supplement the quantitative method to teaching evaluation. By the developed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the researcher actually evaluated Korean language class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to find out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Eisner’s teaching evaluation method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classes. The research results are same as the following. First, in intentional dimensions, in addition to the intentional learning goals, the teacher considered practical learning goals. Second, regarding to structural dimensions, problems were displayed from human and temporal configuration. Thirdly, in educational curriculum dimensions, the teacher designed the instruction by considering learners’ interests, levels, and links to other subjects, but there were limitations like teacher󰠏directed aspects. Fourthly, in instructional dimensions, warm atmosphere, voices of clear tones, and interesting teaching materials led learners having participated in the instruction, but it was insufficient in class management. Fifthly, in evaluation dimensions, individual and group feedback was properly provided, but authentic assessment was not conducted in the classroom situation. Based on these results, a total of 19 evaluation criteria were derived by Eisner’s educational connoisseu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