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에서는 외상 사건을 경험한 만 20세 이상 성인의 자기성찰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외상 사건 경험이 있는 만 20세 이상의 전국의 성인을 대상으로 자기성찰,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척도로 구성된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00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22를 이용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자기성찰과 외상 후 성장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기성찰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의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자기성찰이 높은 경우 의도적 반추의 영향은 미미하게 나타났지만, 자기성찰이 낮은 경우 의도적 반추가높을수록 외상 후 성장 정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자기성찰이 낮은 경우 의도적 반추는 외상 사건의 원인과 의미를 이해하고 재평가하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인지처리과정으로 사건이 자신에게 미친 영향을 구체화하고 객관적인 시선으로 외상 사건이 주는 긍정적인 점을 찾도록 함으로써 외상 후 성장을촉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상담 개입의 적용과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xa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in adults over the age of 20 who have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Methods To achieve this goal, a nationwid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 adults over the age of 20 who had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and the survey included self-exa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scales. A total of 300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2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lf-exa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Additio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xa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was confirmed. In case of the high-degree of self-examination, the influence of deliberate rumination appeared to be marginal. Conversely, in contexts of limited self-examination, an uptick in deliberate rumination corresponded with a marked rise in post-traumatic growth. Conclusions When self-examination is low, deliberate rumination can serve as a cognitive processing method that focuses on understanding and re-evaluating the cause and meaning of the traumatic event. It aids in concretizing the impact of the event on oneself and encourages viewing the traumatic event from an objective perspective, identifying its positive aspects. This approach can potentially enhance post-traumatic growth.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