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예비 초등특수교사의 학습된 무기력을 파악하고, 이 학습된 무기력이 진로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 연구는 A 지역 소도시의 사범대학 특수교육(초등)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은 ‘일상적인 활동에 대한 학습된 무기력 상태(학습무기력)’, ‘학업 장면의 특성이 구체적으로 반영된 학습된 무기력(학업무기력)’, 자기결정성에 따른 진로동기 척도로 구성되었다. 총 62명의 자료를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 크루스칼 왈리스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기술통계 분석결과로는 예비 초등특수교사들이 인식한 학습된 무기력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무동기(무조절)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 자율동기(동일시조절, 내재적조절)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학습무기력과 학업무기력은 각각 무조절, 외재적조절, 부과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회귀분석과 크루스칼-왈리스 검정 결과, 학업무기력이 무조절과 외재적조절에 유의미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학업 실패에 대한 부정적 반응이 직업 세계 진출을 위한 동기를 불분명하게 하고 진로활동을 하지 않았을 때 얻게 되는 부정적결과를 회피하기 위해 진로 활동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사범대학 특수교원 양성과정에서의학습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 반응성향과 비자기결정성 진로동기에 대한 교육적 개입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elementary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learned helplessness and its effect on career motiva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enrolled in an elementary and special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at a rural university in the K area of the Republic of Korea. Participants complet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including scales assessing learned helplessness in daily life (“helplessness”), learned helplessness in academic situations (“academic helplessness”), and career motivation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Data from 62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al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the Kruskal-Wallis H test. Results Descriptive analyses revealed the absence of learned helplessness (helplessness, academic helplessness) among participants. Levels of amotivation were low, while autonomous motivation, including identified regulation and intrinsic regulation, were high. Correlational analyses indica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non-regulation, external regulation, and introjected regulation, respectively. Regression analysis and the Kruskal-Wallis H test indicated that academic helplessness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non-regulation and external regulation.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egative responses to academic failures could result in a lack of initiation or persistence in career goal-directed behaviors, or in avoiding the adverse outcomes associated with career-related activitie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foundational data for understanding learned helplessness and undetermined career motivation, offering insights for interventions and future research in th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