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적장애인의 평균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그들의 노년기에 부모 상실과 사별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이 질적 연구는 부모 사별을 경험한 중고령 지적장애인 21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이들의 사별과 애도 경험을 탐색하였다. 수집된 질적 자료는 4개의 대주제와 관련하여 14개의 하위주제에 대한 핵심 내용을 도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가족 내에서 부모 상실로 인한 애도 과정에 충분히 참여하지 못하였고, 부모의 상실에 대한 강한 슬픔과 그리움을 보여주었다. 또한 생전 부모와의 갈등과 해소되지 못한 감정이 복합적으로 나타났고, 애도 과정에서 사별 슬픔을 충분히 해소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의 사별을 경험한 중고령 지적장애인의 부모 상실에 대한 대처를 지원하는 사회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들을 위한 죽음 및 상실에 대한 교육과 사별 지원 개입 뿐 아니라, 가족들의 애도 의식참여 지원, 현장전문가들의 애도 지원 역량 훈련이 제공되어야 한다.


As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creases, supporting their bereavement and loss of parents in older adulthood has become important.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d the bereavement and grief process of 21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fter the death of their paren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Data analyses identified 14 subthemes related to four overarching themes. Study results show that after experiencing the death of their parents, participants often felt excluded from the grief process of parental bereavement in the family and experienced strong feelings of sadness and longing. In the grief process, they experienced unresolved emotions toward their deceased parents and did not resolve their grief-related emotions through bereavement. The study findings emphasize the need for social work interventions that help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ope with the loss of their parents. This study provided an important basis for providing education on death, loss, and bereavement support interventions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pport for families to participate in grief rituals, and training for practitioners supporting berea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