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상징주의 세계관과 미학에서 미와 예술창작 등의 본질적 계기로 정초된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의미가 솔로구프의 소설 『작은 악마』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자세히 살펴볼 것이다. 솔로구프의 소설 『작은 악마』는 상징주의 예술이 ‘디오니소스적인 것’에 부여한 미학적 의미를 오롯이 담아낸다. 이 작품에서 ‘디오니소스적인 것’은 사샤와 류드밀라의 사랑의 에로티시즘을 통해 특히 예술이 이 세계의 “물질적 존재의 ‘악몽’”을 극복하고 솔로비요프적 의미에서의 천상과 지상의 전일성을 회복한 높고 아름다운 현실이 될 것이라는 상징주의의 미학적 유토피아 사상을 형상화한다. 사샤와 류드밀라의 ‘디오니소스적인 것’은 상징주의의 기저 신화인 미학적 유토피아와 생예술의 이념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지만, 동시에 그 이면에서 이 이념들의 현실에서의 성립가능성에 대한 솔로구프의 회의를 뚜렷이 증명해주고 있다. 또한 『작은 악마』의 ‘디오니소스적인 것’은 솔로구프의 비관적 예술관을 비추어준다. 사샤와 류드밀라의 사랑을 통해 엿보이는 ‘높은’ 세계로의 출구는 다만 한시적인 위안이며 찰나의 꿈에 머무른다. 솔로구프에게서 예술은 “고립된 의식 속에서의 주관적 환상이라는 어두운 도피적 비전”으로 추락하고 생예술의 비전은 폐기된다.


This thesis will take a closer look at how the idea of ‘the Dionysian’ is implemented in Fedor Sologub's novel The Petty Demon. The Petty Demon fully captures the aesthetic meaning that the Russian symbolist art gave to ‘the Dionysian’. In this work, ‘the Dionysian’ which is found in the eroticism of love between Sasha and Lyudmila embodies the idea of the aesthetic utopia of symbolism that art could overcome the “nightmare of material existence” of this vulgar world and restore the unity of heaven and earth in the sense of Solovyov’s philosophy. While ‘the Dionysian’ of Sasha and Lyudmila's love concretely embodies the ideas of the aesthetic utopia and lifecreating art, which are the basic myths of symbolism, at the same time it clearly demonstrates Sologub’s doubt about the feasibility of these ideologies in reality (жизнеспособность). ‘The Dionysian’ in The Petty Demon is espoused by Sologub's pessimistic view of art. The exit to the ‘higher’, divine world which is seen through the love of Sasha and Lyudmilla is only a temporary consolation and a transient dream. In this reality, the ecstasy of love is only possible in the closed room where Sasha and Lyudmila meet, and only through Lyudmila's dreams and lies. Sologub's pessimistic view of art, which denies art’s ability to transform reality, is combined with his pessimistic view of the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