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근 450년에 걸친 가곡의 변천과정을 각 시대별 악보를 통해 살펴보았다. 가곡은 리듬 중심으로 변화되어 왔는데, 각 시대별 악보에는 리듬이 기보되어 있는 것도 있고 기보되어 있지 않는 것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듬이 기보된 악보를 중심으로 하고, 리듬이 기보되어 있지 않은 악보를 서로 대조 및 비교하며 그 리듬을 찾아,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곡은 1572년 『금합자보 』에 평조만대엽으로 처음 등장하였다. 이 평조만대엽은 ‘진작3 대엽’에서 파생되었다. 평조만대엽은 3・2・3혼소박 6박자의 리듬으로서 ‘진작3 대엽’의 3소박 4박자 리듬에 2소박 두 박이 첨가된 것인데, 이것은 정간보의 구조를 따른 것이다. 따라서 『금합자보 』평조만대엽은 만대엽・중대엽・삭대엽의 만대엽이라기보다는 ‘진작3 대엽’에 대한 만대엽으로 볼 수 있다. 1610년 『양금신보 』에 이르러 만대엽・중대엽・삭대엽이 처음 등장한다. 그런데, 이 때의 만대엽은 『금합자보 』평조만대엽과 달리 자유리듬의 기악곡으로 되어 있고, ‘중대엽’은 『금합자보 』평조만대엽의 리듬으로 되어 있으며, ‘삭대엽’은 평조만대엽의 근원인 대엽의 3소박 4박자 리듬으로 되어 있다. 결국 최초의 만대엽・중대엽・삭대엽은 느린 자유리듬, 3・2・3혼소박 6박자의 리듬, 3소박 4박자 리듬으로 형성되었다고 하겠다. 3소박 4박자 리듬의 초기 삭대엽은 이후 두 번의 변화를 겪는다. 3소박 4박자 리듬이 1680년 무렵 평조만대엽과 중대엽을 따라 2소박 두 박이 더해져 3・2・3혼소박 6박자가 되고, 1779년 무렵에는 그 소박이 박으로 변하여 오늘날과 같은 3소박 16박 장단의 리듬으로 되었다.


In this study, the journey of Gagok spanning almost five centuries was examined through the musical scores of each era. Gagok has evolved with a focus on rhythm. Some musical scores of each era contain notated rhythms, while others do not. This research places the emphasis on scores with notated rhythms, contrasting and comparing them with scores lacking notated rhythms in order to uncover the rhythmic patter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Gagok first appeared in 1572 with the publication of Geumhabjabo under the name Pyeongjo Mandaeyeop. Pyeongjo Mandaeyeop was derived from Jinjak3 Daeyeop. Pyeongjo Mandaeyeop is characterized by a rhythmic pattern of 6/3・2・3(󰁜♩󰁜) meter which consists of four ternary-subdivided beats and two binary-subdivided beats, where two binary-subdivided beats are added to the four ternary-subdivided beats of Jinjak3 Daeyeop. This rhythmic pattern follows the structure of Jeongganbo. Therefore, Pyeongjo Mandaeyeop can be considered as a variation of Jinjak3 Daeyeop, rather than one of the three types of Daeyeop: Mandaeyeop, Jungdaeyeop, and Sakdaeyeop. By the year 1610, Mandaeyeop, Jungdaeyeop, and Sakdaeyeop make their first appearances in Yanggeumsinbo. During this period, however, Mandaeyeop takes the form of a free rhythmic instrumental piece, in contrast to the rigid rhythm of Pyeongjo Mandaeyeop. Jungdaeyeop has the rhythm of Pyeongjo Mandaeyeop, while Sakdaeyeop has the four ternary-subdivided beats rhythm of the original Daeyeop. Thus, the initial forms of Mandaeyeop, Jungdaeyeop, and Sakdaeyeop had slow free rhythm, 6/3・2・3(󰁜♩󰁜) meter rhythm, and four ternary-subdivided beats rhythm, respectively. The initial Sakdaeyeop with four ternary-subdivided beats rhythm underwent two changes. Around 1680, the four ternary-subdivided beats rhythm shifted to 6/3・2・3(󰁜♩󰁜) meter rhythm following Pyeongjo Mandaeyeop and Jungdaeyeop, and around 1779, the sub-beats in this pattern changed to beats, resulting in the familiar 16 ternary-subdivided beats rhythm that is seen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