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조대왕실기>는 인조의 생애를 실기류의 방식으로 서술한 구활자본 작품이다. 인조의 생애를 서술하면서, 생애를 균질하게 제시하기보다는 특정 국면을 확장시키고 있다. 각각의 장면들은 광해군의 폭정으로 인한 나라의 혼란과 반정, 이괄이 일으킨 반란에 따른 임금의 피난과 수습, 청나라의 침략으로 인해 항복하는 상황이며 모두 인조대에 겪었던 나라의 위기를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인조는 당시의 위기를 극복하고 잘못된 상황을 바꾸려 했던 인물로 형상화되어 있다. 병자호란의 경우에도 청나라와 군신의 관계를 맺게 되었지만, 마음속으로는 항복하지 않았다는 내용을 분명하게 제시한다. <인조대왕실기>에서 인조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그의 생애를 재구성하는 과정은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상황과 관련을 맺는다. 나라를 빼앗긴 위기의 상황에서, 조선시대의 임금 가운데 시대적 위기를 경험하고 이를 이겨낸 임금으로 인조를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조가 위기를 극복하려 했던 과정이 실기류 작품으로 형상화되면서, 당대의 독자들에게 작품의 의미는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상황과 중첩되어 받아들여졌다고 할 수 있다.


<Injodaewang-silgi(仁祖大王實記)> is an old printed manuscript that describes the life of King Injo in a realistic manner. Describing the life of King Injo, the characteristic scenes were expanded. The expanded scenes are the Injo Rebellion, Yi Gwal's Rebellion, and the Byeongjahoran. Through the description of King Injo's rebellion, King Injo is supposed to correct the country in crisis due to Gwanghaegun's tyranny and corruption. According to Lee Gwal's description of the rebellion, the king was in such a critical situation that the king fled, but it was supposed to calm the rebellion and correct the crisis in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Byeongjahoran, the king surrendered, but he did not forget to avenge the Qing Dynasty. Through characteristic scenes, the characteristics of King Injo as a king who overcame the crisis are clearly revealed. The appearance of King Injo is not found through other kings of Joseon. The theme of these works is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he times calle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fore, it can be judged that the readers of the time equated the difficulties that King Injo experienced with his problems of the times while reading <Injodaewang-sil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