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의 목적은 현대 한국어 청자 높임 종결어미를 통사 구조에서 설명할 수 있는 화자자질과 청자자질 체계를 제시하는 것이다. 한국어 종결어미는 화행구(SAP)의 화행핵으로서 ‘화자’와 ‘청자’를 논항으로 도입하며, 각 종결어미가 자신의 논항을 점검하는 ‘화자자질’과 ‘청자자질’은 최상위 구조에서 조합되어 여섯 화계 고유의 속성이 된다. 두 대우 자질의 조합은 문장에서 화자와 청자를 지시하는 1,2인칭 대명사 및 호격어가 서술어가 아닌 종결어미에 제약을 받는 현상을 통사적으로 설명하는 기제가 된다. 또한 종래 ‘격식적인가’, ‘청자를 높이는가’만이 중시되던 여섯 화계의 변별에는 ‘자신을 낮추는 화자’에 대한 기준이 추가되어야 한다. 본고는 최상위 화계인 {하십시오체} 종결어미에 융합된, 과거 대우법 선어말어미 ‘-ᄉᆞᆸ-’과 ‘-ᅌᅵ-’의 기능을 근거로 유표적 대우 자질을 포착하였다. 이에 [±자기낮춤]과 [±상대높임][±더높임]을 여섯 화계를 변별하는 최소자질로 상정하고 ‘격식자질’을 배제하여 ‘화자자질’과 ‘청자자질’로 체계화되는 현대 한국어 청자 높임 종결어미 체계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feature-based analysis for the addressee-honorific ending system in modern Korean. Adopting the idea of SpeechAct structures, we claim that each ending form is realized w.r.t. featural combinations of two functional heads (speaker0 and hearer0). To clarify this point, we propose three honorific features: [humble for speaker], [respect for addressee], and [amplifying respectfulness]. Especially, it is emphasized that the speaker’s perspective plays a central role in relativizing honorific status. We also show that the first two features reflect the speaker’s intention respectively, and their roles are inherited from the two disappeared prefinal endings via diachronic change. Given all, we discuss (i) how these features can be combined so as to constitute 6 speech-styles, and (ii) how to understand each speech style encodes the unique “speaker-hearer” r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