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한국어 어휘의미 공인화 연구의 대상과 필요성을 논의하고 그 공인화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첫째, 어휘의 공인화 연구 대상에는 그 형태뿐 아니라 의미도 포함되어야 한다. 사전미등재어의 공인화는 신형신의어의 ‘의미 정착’, 사전등재어의 공인화는 정착어의 ‘의미 변화’ 결과로 대별된다. 둘째, 어휘의미 공인화의 유형은 사전 등재와 어휘부 등재로 나뉜다. 사전 등재는 규범 사전의 뜻풀이로 확인되나, 어휘부 등재는 자료 분석이나 단순 평균치 및 빈도 비교보다는 다양한 사용자 변인을 통제하여 그 의미의 보편성을 사회언어학적·통계적으로 실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어휘부 등재 검증 과정에서 사전미등재어는 정착 의미를 원형화하는 질적·귀납적 기술이, 사전등재어는 변화 의미를 수용할 확률의 승산이 통계적 유의 범위 내에서 사용자 변인과 무관하게 높게 나타나는지 관찰하는 양적·연역적 검정이 적합하다.


This paper discusse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lexical meaning in Korean and presents an empirical methodology. We investigate how unlisted words stabilize their meanings within neologisms, as well as how listed words undergo semantic changes to solidify their meanings. There are two primary facets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lexical meaning: dictionary listing, validated through normative definitions, and lexical representation, which extends beyond mere corpus and frequency analysis. Lexical representation requires sociolinguistic and statistical experiments to assess the likelihood of meaning, while taking various user factors into account. To examin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eaning in unlisted words, we employ qualitative and inductive refinement using grounded theory. For listed words, we utilize a quantitative and deductive approach to statistically test significant semantic changes, independent of user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