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在韩中两国近代史上,“反帝”、“救亡”和“新民”等都是有别于以往朝代的新的时代主题,这些主题同时体现在梁启超的旧体诗和金泽荣的汉诗中,正因如此,二者诗歌表现出了有别于传统的新质,这些不同以往的新质又使二者诗歌具有了鲜明的近代特征。就“反帝”来看,他们都注重表达对民族帝国主义侵略者的愤恨,而梁启超的旧体诗还含有对清政府苟且偷安的怒斥,金泽荣的汉诗则还集中在对侵略者给诗人自身生活带来的巨大影响的描写。于“救亡”来说,二者诗歌都含有救国于危亡的强烈的责任意识,梁启超亲自参与到救亡运动中,他对救亡方式的探索也经历了较大的变化过程,金泽荣则从文化继承的角度出发,采用“文章报国”的间接的救亡方式,且将救亡的希望寄托于独立运动家的身上,在汉诗中表现出对他们的鼓舞和信任。从“新民”来讲,二人都表现出对女性的认知的转变,他们诗歌中的女性形象兼具传统和近代的女性美,在此基础上,梁启超提出了“女性解放”,“女权运动”等富有近代色彩口号;而金泽荣虽未如此激进,但他也从传统的女性观念中挣脱出来,思想发生了不可忽视的变化。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and China, “anti-imperialism”, “saving the nation” and “new people”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dynasties of the new era theme. These themes are reflected in Liang Qichao's old-style poems and Kim Taekyoung's Chinese poems. Because of this, their poems show new characteristic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ones, and these new characteristics make their poems have distinctive “modern characteristics”. From the perspective of “anti-imperialism”, they all focus on expressing their resentment against the aggressors of national imperialism, while Liang Qichao's old poems also contain a rebuke to the Qing government. Kim Taekyoung's Chinese poems is also focused on the aggressor to the poet's own life of the great impact of the descri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aving the nation”,both poems contain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to save the country from danger. Liang Qichao himself participated in the rescue movement, and his exploration of the rescue mode went through a great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uccession, Kim Taek-young indirectly saved the nation by using the “article of national salvation” method, and he pinned his hope on the independence activis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ew people”,both show a shift in women's perceptions. The female images in their poems have both traditional and modern feminine beauty. On this basis, Liang Qichao put forward slogans with modern colors such as “women's liberation” and “feminist movement”. Although Kim Taek-young is not so radical, but he also broke away from the traditional concept of women, the thought has undergone a change that cannot be ignored.


한·중 양국 근대사에서 “반제(反帝)”,“구망(救亡)”,“신민(新民)” 등은 이전 시기와 다른 새로운 시대적 주제이며, 이 주제들은 량치차오의 구체시(旧体诗)와 김택영의 한시(汉诗)에 동시에 나타나기 때문에 전통과는 다른 신질(新质)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신질은 또한 량치차오의 구체시와 김택영의 한시에 뚜렷한 근대적 특징을 갖게 한다. “반제”를 보면, 두 사람 모두 민족제국주의 침략자에 대한 울분을 표현하는 데 치중했고, 량치차오의 구체시엔 청나라 정부에 대한 구차한 질타를, 김택영의 한시는 침략자가 시인 자신의 삶에 끼친 지대한 영향을 묘사하는 데 집중했다. “구망”을 보면, 두 사람의 시 모두 나라를 위태로운 상태에서 구해야 한다는 강한 책임의식을 내포하고 있다. 량치차오는 직접 구망운동에 참여하였고, 구망방식에 대한 탐색 또한 큰 변화과정을 거쳤다. 김택영은 문화계승 차원에서 “문장보국(文章报国)”이라는 간접적인 구망방식을 채택하여 독립운동가들에게 구망의 희망을 걸고 한시에서 이들에게 고무와 신뢰를 보여주었다. “신민”을 보면, 두 사람 모두 여성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보였고, 이들의 시적 여성 이미지는 전통과 근대의 여성미를 겸비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량치차오는 “여성해방(女性解放)”, “여권운동(女权运动)” 등 근대적 구호를 내걸었고, 김택영은 그렇게 급진적이지는 않았지만 전통적인 여성관념에서 벗어나는 사상의 변화를 무시할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