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현 한반도 내 평화를 염원하면서 라인홀드 니버(Reinhold Niebuhr)의 ‘현실주의(realism)’이론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니버의 현실주의 이론은 20세기 중반 미국과 소련(구 러시아)이 국제 패권을 잡기 위한 경쟁 속에서 양강 대립 구도를 극복하고 실현이 가능한 국제 평화를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높게 살 만하다. 니버는 각 체제를 민주주의와 공산주의의 유토피아로 전제하고 다만 전자는 민주주의 내 권력의 욕망과 집단의 이기심을 극복하지 못하는 약한(soft) 유토피아, 그리고 후자는 전제주의 체제로 자유가 강탈당하는 강한(hard) 유토피아로 분석하고 각 체제의 안정을 위한 ‘세력 균형(balance of power)’ 이론을 제시하였다(Niebuhr: 1949, 206-208). 정의와 자유를 위한 이상적인 사회를 열망하면서도 그 안에 작동하는 권력의 의지를 가진 인간의 본성을 날카롭게 지적하는 니버의 이론은 현대 국제정치와 연관하여서도 여전히 통찰력을 제시하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니버식 현실주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보는 관점도 있는데, 그의 이론이 실현 ‘불가능의 가능성(impossible possibility)’인 ‘이상주의(idealism)’라는 것과 그리고 세력 균형이론을 제시하는 그 근본 토대가 무력을 동반하는 속성을 가졌다는 점이다. 인간집단이 추구하는 정치적 이념의 한계를 기독교적 사랑과 정의의 이상으로 극복하려고 하였다는 점에서, 그리고 세력 균형 이론이 최소한의 폭력이라도 필수적으로 요청된다는 점이 니버식 이론의 한계로 지적된다. 특히 세력 균형 이론과 연관하여 니버식 현실주의 이론이 미국식 무력을 앞세우는 제국주의적 특성을 가진 지 여부에 관한 질문은 의미 있다고 본다. 따라서 필자는 이에 대한 검토로 6.25 전쟁 전후 일본과 당시 조선의 관계, 러시아와 일본의 팽창주의와 맞선 미국식 민주주의, 그리고 6.25 전쟁에 대한 니버의 관점을 살펴보면서 그의 현실주의 면모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고 본다.


It’s been 70 years since the armistice, but North and South Korea are still struggling to establish peace. North Korea launched the ballistic missile on June 24th, violating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that belittles the expectations for the peace treaty. Multilateral efforts to overcome the military confrontation that continues to exist after the armistice and the complex interests of the US, Japan, and China concerning the de-escalation of tensions in the Korean Peninsula are much needed now more than ever. Longing for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paper’s purpose is to summon the ‘realism’ of Reinhold Niebuhr. Niebuhr’s Christian Realism can be highly appreciated in that it searched for a viable international peace overcoming the confrontational structure where US and Soviet Union competed for global dominance during the mid-20th century. Niebuhr placed each superpower as the utopia of democracy and communism as a premise but analyzed the US as a soft utopia that cannot overcome the desire for power and collective selfishness and analyzed the Soviet Union as a hard utopia where freedom is taken away in an autocratic system, and offered the theory of ‘balance of power’ for the stabilization of each system. The theory of Niebhur, as someone who longed for an ideal society of justice and freedom but still sharply pointed out the human nature hungry for power, still provides insight regarding contemporary international politics. The paper will review Niebuhr’s Realism around the significant works of Niebuhr and the articles printed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in Christianity and Crisis magazine, where Niebuhr was the editor. At large, three areas will be reviewed: Niebuhr’s interpretation of Japan’s expansionism, Niebuhr’s understanding of the politics in the East,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and Niebuhr’s stance towards the Korean War. Niebuhr’s Realism will be reevaluated through those endeavors, and the paper will examine how that theory may contribute to peace in Korean Peninsu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