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고는 일명 ‘큰 잔치 비유’(눅 14:15-21)를 사회과학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1세기 지중해 연안 세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사회과학적 개념인 ‘명예게임’과 ‘보호자-피보호자의 호혜작용’, 그리고 ‘가십 네트워크’ 를 통해 비유가 전제하고 있는 사회적 상황을 규명하고, 그 상황 안에서비유가 던져주는 의미를 파악한다. 이를 통해 큰잔치 비유는 종말론적 잔치나 이방인 구원의 정당성, 제자도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예수 당시 팔레스타인 사회(그리고 1세기 지중해 주변 세계)의 가장 일반적인 특징 중하나였던 부자와 가난한 자 사이에 놓인 사회적 경계를 허무는 하나님 나라의 새로운 사회질서에 관한 이야기임을 밝힌다. 다시 말해 이 비유는 두개의 세상, 즉 상호주의가 여전히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사회적 경계와 계급 구조가 점점 더 뚜렷해지는 이 세상과 그 모든 것이 무의미한 하나님나라를 동시에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이 어떤 태도를 취하며 살아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이야기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arable of the Great Feast’ (Luke 14:15-21) in social scientific approach. In particular, this paper identifies the social situation premised in the parable by using ‘honor game,’ ‘patron-client reciprocity,’ and ‘gossip network’ which are very important social scientific concepts for understanding the first century Mediterranean world, and understands the meaning of the parable in the situation. So it reveals that this parable is not a story about the apocalyptic feast, about the legitimacy of saving strangers, or about discipleship, but a story about a new social order in the kingdom of God that breaks down the social boundary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one of the most common characteristics of Palestinian society in the time of Jesus (and the world around the Mediterranean in the first century). In other words, this parable is a story that tells what attitude Christians should take in living in two worlds, that is, this world where reciprocity are still powerful and social boundaries and class structures become increasingly clear and the kingdom of God where all of them are meaningl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