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조선인 대상의 관제잡지였던 <신민>의 미디어 정체성 속에서 국학 지면이 차지했던 위치와 함의에 주목하였다. <신민>은 발행 기간 내내 조선의 민족문화에 대한 풍성하고 다채로운 담론과 이슈를 생산해 냈던 잡지였다. 조선인의 시선을 전면화하고 제국의 이해를 후면화하는 ‘비균형의 균형’은 국학 지면을 구성하던 비가시적인 원리였다. 이를 통해 <신민>은 조선인 잡지라는 ‘명분’과 식민 전략의 우회적 관철이라는 ‘실리’를 모두 견지하고자 했다. <신민>은 표면화하지 않은 잡지 생산의 무수한 기저와 맥락 속에서 일제의 식민주의적 이해와 전략을 투영하거나 적용했다. 국학 지면을 뚜렷이 관통했던 실용주의 노선, 담론의 혼종성과 혼종적 기획 등은 모두 <신민>이 잡지 미디어 너머의 현실 식민주의와 맺었던 끈끈한 결속의 영향 하에서 파생된 결과물이었다. 조선/제국, 고전/현대, 조선/동양/세계 등의 편차를 적극적으로 용인하고 병립함으로써 조선 국학에 대한 통시적․공시적인 확장성을 발휘했던 <신민>은 ‘동양의 국학’ ‘세계의 고전’이라는 프레임을 향해 나아갔다. 조선의 국학은 ‘중국’ ‘일본’의 국학과 병립할 뿐 아니라 수렴, 포함, 통합의 구조 속에 놓여있었다. ‘조선적인 것’에 대한 활발한 생산과 적극적 발견은 그 개별적 독자성과 근대성을 증명하는 방향이 아닌 궁극적으로 제국의 ‘지역학’의 일부로서 위치되었다. 관제잡지 『신민』에서 국학 지면은 조선 민족의 고유한 정체성의 구축을 위한 것이 아니라 동양 정신의 위대함을 고취할 더 큰 사상적․문화적 밑그림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민족의 양식으로서의 국학이 제국의 미디어와 공유했던 긴밀한 생산 현장을 포괄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식민지 국학의 곤경 혹은 모색 속에 놓인 복합적인 힘의 양상을 실증하고자 했다.


Shinmin was a magazine that produced rich and colorful discourses and issues on Joseon's national culture throughout its publication period. Shinmin occupied a distinct role and position that could not be overlooked in the geographic map of Korean Studies at the time through vigorous papermaking covering creative work-theory-policy and special projects. This article paid attention to the position and implications of Joseon's Korean Studies pages in the media identity of Shinmin, which was a government-controlled magazine or a quasi-official press of the empire. The 'balance of non-balance', which puts the Joseon people's eyes on the front and the empire's interests on the back, was an invisible principle that constituted the pages of Korean Studies. Through this, Shinmin tried to capture both the 'justification' as a magazine for Koreans and the 'practical benefit' as an indirect implementation of the colonial strategy. Shinmin projected or applied the colonialist understanding and strategy of Japanese imperialism in the countless bases and contexts of magazine production that had not surfaced. The pragmatic line that clearly penetrated the pages of Korean Studies, the hybrid nature of discourses and the hybrid projects, etc. were all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strong bond that Shinmin had with the real colonialism behind the magazine media. Shinmin actively tolerated and coexisted Joseon/Imperial, Classical/Modern, Joseon/Oriental/World, etc. In doing so, Shinmin expanded Korean Studies diachronically and synchronically. Ultimately, Shinmin moved toward the frame of 'Oriental Korean Studies' and 'World classics'. Korean Studies were not only parallel to the national studies of ‘China’ and ‘Japan’, but also placed in a structure of convergence, inclusion, and integration. Active production and active discovery of 'Joseon-like things' were ultimately positioned as part of the 'regional studies' of the empire, not in the direction of proving their individual identity and modernity.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the pages of Korean Studies in Shinmin were no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unique identity of the Joseon people, but a larger ideological and cultural sketch to inspire the greatness of the Eastern spirit. This article comprehensively reviewed the close production sites that Korean Studies, as a national style, shared with the media of the empire. By doing so, I tried to empirically identify the aspects of complex powers in the difficulties or attempts of colonial national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