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재일 한글학교 교사들이 한글학교용 범용 교재를 현지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현재 국가 기관에서 범용 교재를 제작․보급하고 있지만, 각 지역의 특성을 세밀하게 반영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일본은 세계적으로 한글학교의 감소 추세에도 그 숫자가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곳이다. 또한 동포사회의 세대교체가 확대되면서 차세대들의 정체성 교육의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따라서 한글학교의 교육 내용도 일본의 현 상황에 맞게 변화되어야 하고, 교재도 이를 반영해야 한다. 한편으로는 한국 정부가 제작, 수정을 거쳐서 무료로 배포하는 범용 교재의 장점을 활용할 필요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교재 제작보다는 범용 교재를 사용하면서 일본 지역의 특성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재일 한글학교 교사들에게 설문 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해 활용 방안의 기준을 잡았다. 그리고 한글학교별 교육과정 설계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구체적인 교재 활용으로는 ‘연습 및 과제 활동 보완 방안’, ‘문화항목 확대 및 추가’로 나누어 제시했다. 이런 방안들이 계속 모색되고 적용되는 과정과 결과들이 궁극적으로는 일본 현지화 교재 제작의 기초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for Korean language school teachers in Japan to utilize universal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schools in a localized manner. Currently, universal textbooks are produced and distributed by national organizations, bu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in detail. Japan is a country where the number of Hangeul schools is increasing despite the global trend of decline. It is also a country that is facing a new phase of identity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as the generational change in the Korean community is expanding. Therefore, the educational content of Hangeul schools should be adapted to the current situation in Japan, and the textbooks should reflect this.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necessary to utilize the advantages of universal textbooks produced, modified, and distributed for free by the Korean government. Therefore, rather than creating new textbooks, this study proposes a plan to use universal textbooks while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m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regions. First, we conducted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of Hangeul schools in Japan to establish a baseline for utilization. Then, we proposed the need for curriculum design for each Hangeul school, and suggested specific ways to utilize the textbooks, which were divided into 'supplementing exercises and task activities' and 'expanding and adding cultural items'.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ongoing exploration and application of these measures will ultimately serve as the basis for the production of Japanese localized text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