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대다수의 문학사에서 조선어학회사건이 암흑기의 기점이다. 한글이라는 민족어를 통해서 상상세계를 재생산할 수 있는 여건이 가능성 차원에서부터 폐색된 사건이 바로 조선어학회사건이기 때문이다. 암흑기의 문학사는 협력과 저항의 이항 대립으로 쓰이거나, 삭제 표시 아래 기술되었다. 일제강점기 문학사를 바라보는 시각은 소급적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논리에 근거한다. 해방이라는 명백한 미래의 사건의 최종성에 근거해서 소급적으로 통찰하는 확고한 현재의 관점이 그것이다. 일제 강점이 없었더라면 한국문학이 완성했을 최종 상태를 원상 회복하려는 욕망에 근거해서 쓰자면, 문학사라는 사건은 필시 얇게(thin) 기술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애초, 암흑기라는 수사는 독일, 일본 등 식민 제국의 관점을 담고 있다. 정상적인 과정에서 잠시 일탈한 예외적인 과거라는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식민자에게는 폐제의 시간이라면 피식민자에게는 억압의 시간이 암흑기이다. 암흑기라는 명명으로 식민자는 봉쇄한 기표가 피식민자에게 귀환한다. 암흑기의 기원은 만주사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만주사변은 대동아 이념이 격발된 상징적인 사건이기 때문이다. 1931년부터 1945년 일본의 패망까지의 15년 전쟁기를 암흑기로 규정할 수도 있다. 그동안 강제로 병합된 채로 ‘하나’였던 것이 대동아라는 ‘더 큰 하나’의 질서로 가시화되는 과정 전체가 암흑기의 은유에 가깝기 때문이다. 조선이라는 내속적 차이, 조선이라는 절대적인 부정 속에서 파시즘적인 제국의 일관성은 구제된다. 애초에 상실된 국가 관념이 국민국가의 실현이라는 윤리적인 요청에 따라 재명명된다. 조선어와 조선문학은 삭제의 대상인 동시에 보존의 대상이 된다. 국민문학은 제국문학이며, 대동아의 논리와 마찬가지로, 그것이 발화되는 순간 전향의 논리가 작동한다. 그러나 전향은 불가능하다. 피식민자는 근대성의 결여로서 근대성을 체험하기 때문이다. 국가 역시 국가의 상실이라는 절대적인 부정 속에 육화된다. 피해자를 주체로 식민지 지배 체험을 다시 쓰는 과정을 통해 문학사는 중층 기술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In most literary histories, ‘the Korean Language Society affair(1942)’ is the beginning of the Dark Period of the Japanese Imperialism. This is because the conditions for the reproduction of the imaginary world through the national language of Hangul were closed from the possibility level. The literary history of the Dark Period is written as a binary opposition of cooperation and resistance, or described under the exclamation mark. This way of looking at literary histor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s based on the logic of retroactive meaning. It is a firmly present perspective, with retrospective insights based on the apparent finality of the future event of the Liberation. Based on the desire to reconstruct the final state that Korean literature would have achieved in the absence of Japanese domina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literary history is necessarily a thin description of events. In the first place, the rhetoric of the Dark Period carries the perspective of colonial empires such as Germany and Japan. The rhetoric of the Dark Period comes from the perspective of colonial empires like Germany and Japan. For the colonizer, it was a time of foreclosure; for the colonized, it was a time of repression. By naming it the Dark Period, the colonizer returns to the colonized the signifiers it has repressed. The origins of the Dark Period can be traced back to the Manchu Revolt. The Manchurian Incident is a symbolic event that marked the outbreak of ‘the Greater East Asia[Daitoa]’ ideology. The 15-year war period from 1931 to Japan’s defeat in 1945 can also be defined as the Dark Period. This is because the entire process of visualizing the “one” that had been forcibly merged into the “greater one” order of the Greater East Asia is a metaphor for the Dark Period. The fascistic coherence of the empire is rescued from the internal difference of ‘Joseon’, ‘the absolute denial of Joseon’. The idea of nation, lost in the first place, is renamed in accordance with the ethical call for the realization of the nation-state.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literature become objects of erasure and preservation at the same time. National literature is imperial literature, and like the logic of ‘Daitoa’, the moment it is uttered, the logic of conversion is at work. However, this is not possible. The colonized experience modernity as a lack of modernity. The nation, too, is incarnated in the absolute negation of the loss of the 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literary history can be interlaced through the process of thick describing the experience of colonization with the victim as the sub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