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화웨이 문제와 데이터 안보에 대한 일본의 대응에서 발견되는 차이에 주목하여 사이버 안보 이슈별 대응을 결정한 요인을 추적하는 시도를 벌인다. 역할이론과 존재론적 안보의 논의를 복합적으로 원용해 개념화한 국제적 역할인식을 통해 일본의 이슈별 대응 간 차이를 설명한 이 글은 사이버 안보 분야에서 쟁점화된 이슈를 중심으로 나타난 미국의 대일 역할기대와 아베 정권 집권기 일본의 국제적 역할인식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화웨이 문제와 데이터 안보에 대한 상이한 대응 방식이 외교 기조를 통해 표현된 국제적 역할인식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주장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major factor that determined Japan’s response to the issues of Huawei and data security during the Abe administration. Using the discussion of role theory and ontological security, the paper conceptualises the international role conception and uses the concept to explain why the country has responded to the Huawei issue and data security in different ways. It is argued that the Abe administration’s international role conception, or more generally its diplomatic identity, was the major endogenous-ideational factor that determined Japan’s response to those cyber security challe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