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장자의 사상을 전달하는 대표적인 은유체인 물고기의 이야기를 분석함으로써 장자의 은유가 목표하는 바를 고찰하는 것이다. 물고기는 『장자』전편에 걸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데 그중에서 북쪽 바다의 물고기, 강호의 물고기, 호수(濠水)의 물고기, 이 세 부분에 등장하는 물고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북쪽 바다의 물고기가 은유하는 바는 ‘거대함(大)’과 ‘변화(化)’ 이다. ‘거대함’은 진선미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자 상대적인 아름다움이 아닌 절대적인 아름다움을 상징한다. ‘거대함’은 ‘작음(小)’와 대비된다. 거대함과 작음의 차이는 ‘짧은 수명(小年)’과 ‘긴 수명(大年)’, 그리고 ‘작은 지식(小知)’과 ‘큰 지식(大知)’로 변용되며 나아가 ‘작은 쓰임(小用)’과 ‘큰 쓰임(大用)’으로 확장된다. ‘큰 쓰임’이란 곧 ‘쓸모없음(無用)’이며 ‘쓸모없음’은 곧 ‘소요’를 이끌어낸다. 즉 물고기의 ‘거대함’은 ‘큰 지식’, ‘긴 수명’, ‘큰 쓰임’으로 구체화되고 그 결론은 ‘소요’에 이르는 것이다. 물고기가 새로 탈바꿈하는 것을 표현한 ‘변화(化)’는 생명의 영역들 간에 종(種)적인 차이가 없었던 고대 신화의 세계를 보여준다. 『장자』에서 만물은 변화를 통해 끊임없이 순환한다. 인간과 동물, 혹은 식물 사이에 어떠한 경계가 없으므로 물고기는 새로 변화하고, 장주는 나비로 변화한다. ‘변화’는 자연의 모든 생명이 똑같이 존중받는 생태적 세계관의 토대이다. 둘째, 강호의 물고기가 은유하는 것은 ‘잊음(忘)’이다. ‘잊음’은 장자 수행론의 핵심이다. ‘잊음’의 최종 상태는 자기 자신조차 잊는 것으로 『장자』에서 최고 수행상태인 ‘무기(無己)’, ‘상아(喪我)’, ‘심재(喪我)’, ‘좌망(喪我)’의 핵심을 이룬다. ‘잊음’이란 참된 나를 발견하는 최고의 수행방법이라 할 수 있다. 셋째, 호수(濠水)의 물고기가 은유하는 것은 ‘노닒(遊)’ 이다. ‘노닒’는 물고기가 물속에서 한가롭고 자유롭게 헤엄치는 것을 묘사한 말로서 자연의 본성에 따라 저절로 움직임을 말한다. ‘노닒’ 는 인위적인 속박에서 벗어나 몸과 마음이 모두 자유로운 자연의 상태로 움직이는 방식이자 그로부터 느끼는 즐거움까지 포함한다. ‘노닒’는 장자의 사상을 대표하는 개념인 ‘소요유’의 핵심 개념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ntentions behind Zhuangzi's metaphors by analyzing the story of the representative metaphorical fish, which serves as a conduit for conveying Zhuangzi's philosophy. The fish appears repeatedly throughout all sections of "Zhuangzi." In this study, particular focus has been placed on the fish from the Northern Sea, the fish from the river's rapids, and the fish from the lake, which are all integral components of the fish metaphor in "Zhuangzi" Firstly, the fish from the Northern Sea symbolizes "huge (大)" and "transform (化)." "Huge" represents a concept that encompasses all genuine beauty, which is not relative but absolute. "Huge" is contrasted with "small (小)." The contrast between "huge" and "small" extends to "a few years (小年)" and "many years (大年)," as well as "small knowledge (小知)" and "great knowledge (大知)," eventually expanding to "small use (小用)" and "great use (大用)." "Great use" leads to "uselessness (無用)," and "uselessness" leads to "free and easy wandering (逍遙遊)." In this context, the fish's "huge" is concretized through "great knowledge," "many years," and "great use," ultimately leading to "free and easy wandering." The idea of "transform" depicts a world from ancient myths where there were no fixed distinctions among different forms of life. In the "Zhuangzi," everything constantly circulates through transformation. There are no rigid boundaries between humans, animals, and plants. Thus, fish transform into new forms, and insects transform into butterflies. "Transform" forms the foundation of an ecological worldview where all forms of life are equally respected by nature. Secondly, the fish from the river's rapids represents "forgetting (忘)." "Forgetting" is the core of Zhuangzi's philosophy of practice. The ultimate state of "forgetting" is forgetting even oneself, which aligns with the pinnacle of Zhuangzi's practice: "no thought of self (無己)" and "losing oneself (喪我)." "Forgetting (忘)" can be considered the supreme method to discover the true self. Thirdly, the fish from the lake symbolizes "playing(遊)." "Playing" describes the fish swimming leisurely and freely in the water, representing spontaneous movement according to nature's essence. "Playing" encompasses moving away from artificial constraints, allowing both body and mind to move freely in a natural state, including the pleasure derived from it. "Playing" is the core concept of "Free and Easy Wandering," a representative idea in Zhuangzi's philoso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