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우리 사회가 인종적, 계층적, 문화적으로 다각화되어 가면서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이 함께 공존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이를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에 문제의식을 둔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한나 아렌트의 복수성(plurality) 개념을 중심으로 이것이 차이성의 개인들이 함께 공존하는 데 어떠한 이론적·실천적 토대를 제공해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차이와 다름을 근간으로 하는 복수성은 인간사에서 종종 약점이나 극복해야 할 장애로 간주되어 왔으며, 복수성을 제거하려는 시도가 전체주의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서로 다른 개인들이 어떻게 전체주의가 아닌 방식으로 함께 공존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은 전체주의를 겪었던 한나아렌트의 가장 큰 이론적 화두였으며, 그녀의 전 저작이 사실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시도로 이루어졌다고 보아도 무방할 정도로 복수성은 아렌트 사상의 핵심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동안 복수성 개념은 아렌트의 행위 개념, 탄생성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자주 소개되었지만, 이것을 교육학 분야에서 전체주의의 맥락 안에서 탐색한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아렌트의 복수성 개념에 대한 연구는 교육에서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다양성 담론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다양화되어 가는 사회 속에서 점증하는 차별과 혐오가 학교현장에까지 침투하는 가운데서 다양한 구성원들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실천적 지침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As our society grows richer by the moment in race, culture, religion, et cetera, the need for the coexistence of individuals from diverse backgrounds is greater than ever. This paper aims to impregnate the concept of plurality with new meanings and possibilities that draw upon the thoughts of Hannah Arendt. In the long history of human affairs, plurality has often been percieved as a weakness, or an obstacle; one that should be overcome or eliminated, The question of “how are different individuals to coexist in a non-totalitarian way?” was of the utmost importance for Arent, with her firsthand experience of the Holocaust. It is safe to say that her entire body of work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answer that very question.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how the concept of plurality can aid the provision of a not only theoretical, but also practical implication for the coexistence of diverse individu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