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6세기를 기점으로 가야와 왜의 교류양상이 물적 교류에서 고차원적 인적 교류로 변화되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3~5세기 가야와 왜의 교류는 토기, 청동기, 철기 등의 물질자료를 매개로 이루어졌고, 일본열도 각지에서 제작된 물품들이 규슈지역을 경유하여 가야지역으로 전해진다. 우선 3~4세기 가야와 왜의 교류를 주도한 세력은 김해 대성동고분군을 축조한 금관가야의 지배층이라 할 수 있다. 그들은 철 소재를 포함한 한반도 각지에서 집적된 자원과 중국계 문물의 중계까지 활용한 대외교류를 기반으로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였다. 그러나 고구려군의 남정을 계기로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되면서 5세기부터 쇠퇴의 길로 접어들기 시작한다. 이때를 기점으로 가야와 왜는 교류 대상과 지역의 다원화가 이루어지게 되면서 김해지역을 벗어나 남해안 일대 및 경남 서부 내륙지역으로 왜계 문물이 점차 확대되는 양상을 보인다. 5세기 이후부터 가야와 왜를 연결하는 크고 작은 항구가 운영되면서 교류와 관련된 선택의 폭이 넓어지게 되었고, 나아가 대왜 교역과 관련된 지역 단위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6세기 가야와 왜의 교류는 물적 교류를 넘어 고차원적 형태의 인적 교류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왜계 고분을 통해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가야지역에서는 왜계 고분의 축조와 관련된 각 요소만 출현한 것이 아니라 왜인의 상장의례와 관계된 부분까지 포함하고 있다. 당시 가야와 왜의 인적 교류의 핵심은 정치·외교의 목적보다 선진기술 및 정보의 습득과 관련이 깊다. 일본열도에서는 금공, 마사와 같이 선진기술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에 적극적이었고, 가야지역과 인접한 규슈지역에서는 다양한 출신의 왜인들이 모여들었다. 이때 규슈 북부지역과 중서부지역 출신의 왜인들이 중심이 되어 가야와 교류를 주도하였음이 왜계 고분문화에서 확인되며, 고대 사회의 상징적 기념물인 고분을 통해 교류의 우위를 점하기 위한 상호 경쟁적 관계의 가능성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때 규슈 중서부지역 출신의 왜인들 중 일부는 가야지역에 정착하는 삶을 선택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This article paid attention to the phenomenon in which the exchange patterns between Gaya and Wa changed from material exchange to human exchange starting in the 6th century. Exchanges between Gaya and Wa in the 3rd to 5th centuries were carried out through earthenware, bronze, and ironware, and items produced in various part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were handed down to the Gaya region via the Kyushu region. First of all, the power that led the exchange between Gaya and Wa in the 3rd and 4th centuries can be said to be the ruling class of Geumgwan Gaya, who built the ancient tombs in Daeseong-dong, Gimhae. They continued to grow and develop based on trade, which utilized the resources accumulated in various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iron, and the relay of Chinese culture. However, it began to decline from the 5th century as it suffered a serious blow from the invasion of the Goguryeo army. From this point on, as Gaya and Wa diversified their exchange targets and regions, the Wa culture gradually expanded beyond the Gimhae region to the southern coast and western inland regions. Since the 5th century, as large and small ports connecting Gaya and Wa have been operated, the range of choices related to exchanges has widened, and furtherm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regional network related to trade with Wa was formed. Exchanges between Gaya and Wa in the 6th century centered on highly human exchanges beyond material exchanges, and traces of them can be found through ancient tombs in Wa-style. In the Gaya region, not only each element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ancient tombs of the Wa appeared, but also included parts related to the funeral rites of the Wa. At the time, the core of human exchange between Gaya and Wa was more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advanced technology and information than political and diplomatic purposes. In the Japanese archipelago efforts were made to meet the demands for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goldsmiths and horse breeding, and Wa people from various backgrounds gathered in the Kyushu region adjacent to the Gaya region. At this time, it is confirmed in the Wa-style tomb culture that the Wa people from the northern Kyushu region and the mid-western region led exchanges with Gaya as the center. And Through the tombs, which are symbolic monuments, the possibility of a mutually competitive relationship to gain the upper hand in exchange was also suggest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t this time, some of the Wa people from the central and western regions of Kyushu chose to settle down in the Gaya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