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22 개정 통합교과 및 사회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사회과 교육내용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분석을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22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에서 사회과 교육내용과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였고,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계성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전체적으로 학교급및 학년군별로 사회과 교육내용의 주안점이 차별화되면서 연계되는 경향이 있었다. 유치원 누리과정에서는 주변 사회 현상에 관한 관심에 초점을 두었고, 통합교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습 대상의 확대와활동의 수준이 심화되었으며, 이는 3∼6학년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도 지속되는 특징이 발견되었다. 둘째, 유치원 누리과정부터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과 교육과정까지 비교적 연계가 잘 갖춰진 교육내용을 찾을 수 있었다. 다만, 영역별로 연계성의 양상과 그 특징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치원 누리과정부터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과 교육과정까지 계열성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일부 학년군에서만 등장하는 경우, 학교급이나 학년군에 걸쳐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는 경우, 교육내용의 범위와 수준이 역행함으로써 교육과정의 계열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경우가있었다. 이와 같은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치원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통합교과 및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사회과 교육내용의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학교급 교육과정 구성에 참고할 사회과교육의 주요 내용 요소가 담긴 기준안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급 및 교과 간 교육과정의 형식적 체계를 통일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rticulation between the contents of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and the 2022 revised integrated and social studies curricula. The results suggest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F or analysis, parts related to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re extracted from the 2019 revised Nuri and the 2022 revised integrated curricula; the study formulates articulation analysis standards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First,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re was a tendency to be linked as the focus of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grade group as a whole. The kindergarten Nuri course highlights the surrounding social phenomena;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the target is expanded, and the level of activities is deepened, which was found to continue in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hird to sixth graders. Second, the study finds a relatively well-connected curriculum from the kindergarten Nuri course 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fifth to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However, the study observes differences in the aspect of articul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by area. Third, we confirm that the articulation was not secured from the kindergarten Nuri course 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the fifth to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For example, when appearing only in certain grade groups,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are repeated across school levels or grade groups; the scope and level of the curriculum are reversed; and the articulation of the curriculum is insufficiently secu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discussions, we suggest that the articulat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uld consider the kindergarten Nuri,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and social studies curricula. First, formulating standards that contain the major content element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composition of each school-level curriculum. Second, unifying and supplementing the formal system of the curriculum at the school level and between subjects are important initia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