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또래관계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보고한 초등 중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또래와의 부정적 경험에 대한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의 개선을 통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감소를 목적으로 수용전념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의 한 초등학교 4학년 여학생 19명으로 7명은 실험집단, 12명은 통제집단이며 주 1회, 40분씩 총 8회기로 구성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은 큰 폭으로 감소되었으며 실험집단의 정서인식명확성은 향상되었고 정서표현양가성은 소폭 감소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의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FGI를 통해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또래관계에서 경험하는 불안을 마주하고 이에 휘둘리지 않을 수 있는 대처전략을 배웠으며 이를 가족 및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적용하며 새로운 관계 경험을 보고하고 있어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수용전념치료의 일부 개념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모습도 보였다. 논의에서는 초등 중학년 학생들이 수용전념치료를 이해하고 적용하는데 경험한 어려움을 분석하고 향후 프로그램 개발에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developed and tested the effectiveness of an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AC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ported social interaction anxiety in peer relationships. The program aims to reduce social interaction anxiety by improving emotional clar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in response to negative experiences with pe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 female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2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program was applied for a total of 8 sessions of 40 minutes once a wee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social interaction anxiety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s emotional clarity was improved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as slightly reduced.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FGI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learned coping strategies to face and avoid anxiety in peer relationships through the program, applied them in their relationships with family and friends, and reported new relationship experiences,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However, some of the concepts of ACT were not fully understood. In the discussion, we analyze the difficultie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d in understanding and applying ACT and suggest ways to address them in future program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