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청소년과 함께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 대응해 나아갈 미래 청소년지도자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하기 위하여 청소년지도자의 핵심역량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청소년활동 및 청소년상담 분야 청소년지도자를 대상으로 한 미래인재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 결과 우리나라와 해외의 청소년지도자 역할, 직무, 역량에 관한 논의 특성은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우리나라와 해외에서 정의하는 청소년사업의 개념적 범위 및 청소년지도자가 수행하는 직무, 역할의 범위의 다름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청소년지도자 역량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있는 유럽에서는 청소년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전문지식, 기술, 태도와 같은 전문적 역량뿐만 아니라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환경에 대한 적응 관련 역량 논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청소년지도자가 인식한 미래인재 핵심역량 우선순위는 분야별로 청소년활동 분야에서 문제예측역량, 문제해결역량, 행복추구역량, 청소년상담 분야에서 자기권리 추구역량과 문제해결역량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활동 분야와 청소년상담 분야가 수행하는 직무와 역할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문제해결역량의 경우 두 분야 모두에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고, 다른 역량들 또한 각각의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미래 청소년지도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빠르게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 적응하고 나아가 미래의 변화를 주도해 나가는 핵심 주체로서 청소년사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논의를 시작으로 미래 청소년사업 현장과 미래 청소년지도자의 역할에 관한 다양한 논의들이 더욱 활발히 이어지면서 우리나라 청소년사업 현장을 비롯한 청소년 성장 지원체계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for future youth workers who will respond to the changing society together with young people, and who will support innovation and development in youth work. To achieve this, the study reviewed prev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related to the key competencies of youth workers. The study alos examined the youth worker’s perceptions of the future key competencies in youth activities and counseling fields. The literature review revealed differences in the roles, responsibilities, and competencies of youth workers in South Korea and abroad, due to different conceptual scopes of youth work and the extent to which youth workers are attributed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different contexts. Particularly, European cases present a specific framework for the competencies of youth worker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adaptation-related skills in a rapidly changing socio-environment, in addition to professional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Youth workers in the youth activities and counseling fields prioritized different key competencies. In the youth activities field, youth workers prioritized problem prediction, problem-solving, and pursuit of happiness. In the youth counseling field, youth workers prioritized self-advocacy and problem-solving. These differences stem from the distinct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se fields. However, problem-solving is consistently highly prioritized in both domains, and the other remaining competencies also had relatively high importance in each field. This suggests that these competencies required for youth workers in the future are important for adapting to a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taking a leading role in carrying out projects to nurture and support young people who will make the future. Starting with this study, we hope to generate various discussions concerning the role of future youth workers. And we hope that these discussions will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e youth work field and ultimately benefit the advancement of youth policy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