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재난취약계층으로서의 장애인의 지역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특성 요인에 대하여 실증 분석을 시도한 연구이다. 이와 함께 장애인의 지각된 재난 취약성 인식이 매개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도 함께 검증하였다. 연구를 통해 그동안 소홀히 여겨졌던 지역 구성원으로서의 장애인의 생활 환경에 대한 개선과 지각된 재난 취약성 수준 파악을 통한 수요자 중심의 행정 구현, 권리 신장 및 거버넌스 확대를 모색하는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분석 결과 비공식사회환경, 공식적 사회보건복지서비스, 물리적 환경 특성, 문화적 환경 특성 중 다수가 지역 만족도와 정(+)의 영향 관계를 나타냈다. 환경적 특성에 따라서 장애인의 지역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 관계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매개변수로 사용된 재난 취약성도 환경적 특성 요인과 지역만족도 간의 관계를 일부 매개하였다. 이는 대한민국의 장애인 생활 여건과 사회현실을 고려한 해석의 여지가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의 지역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환경적 특성 차원에서 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지만 대한민국의 장애인이 인식하는 환경적인 편의와 개선 노력이 체감 수준으로까지 나타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재난 취약성을 낮춤으로써 장애인의 지역 만족도는 증대될 수 있다는 사실을 통해 장애인의 재난 취약성을 감소시키는 정부의 정책적인 노력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지역에 대한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양적 요소만이 아니라 지역의 총체적 조건으로서의 물적, 질적 환경 요소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더불어 지방정부는 객관적 서비스 요소뿐만 아니라 주관적 만족 서비스 요소를 포함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종국적으로 지역 만족도가 높아지면, 정주 만족도가 올라가고, 궁극적으로 거버넌스에 참여할 관심과 의지가 증진되어 삶의 만족이 증진된다는 점이다.


This study attemp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actors that affect the community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as a disaster vulnerable group. In addition, it was also verified whether the perception of the disabled’s perceived vulnerability to disaster acts as a mediating factor. Through research, it should be a starting point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disabled as local members, which has been neglected, and to find out the level of perceived disaster vulnerability to implement consumer-centered administration, enhance rights, and expand govern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any of the informal social environment, official social health and welfare services, physic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showed a positive (+) influence relationship with community satisfaction.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on the community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Disaster vulnerability, which was used as a mediator, also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community satisfaction. This is a part that has room for interpretation considering the living conditions and social reality of the disabled in Korea. These results show that efforts must be made to improv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ncrease community satisfac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ut the environmental convenience and improvement efforts perceiv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do not represent the level they feel. However, the fact that the community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can be increased by lowering the disaster vulnerability suggests that the government’s policy efforts to reduce the disaster vulnerability of the disabled are important. In order to improve community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quantitative factors but also physical and qualitative environmental factors as overall conditions of the community. In addition, local governments should make efforts to provide public services, including not only objective service elements but also subjective satisfaction service elements. As community satisfaction increases, settlement satisfaction increases, and ultimately, interest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governance can be enhanced, thereby improving life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