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당기 사회성과인센티브(SPC)가 사회적기업의 차기 사회성과에미치는 영향이 경영성과와 기업의 성숙도에 따라 다른지 분석하여, 사회적기업에 제공하는 사회성과인센티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회적가치연구원의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적기업 중 2015년부터 2020년까지 6년간 전체표본 785개 기업-연도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가설검정 결과, 첫째, 사회적기업의 당기 사회성과인센티브는 경영성과의 척도인매출액 및 매출액성장률이 높은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차기 사회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종속변수를 사회성과와 고용성과 2가지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매출액이 높고 매출액성장률이 낮은 ‘성숙기’에 있는 기업의 경우에 사회성과인센티브가 사회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높았고, 매출액이 낮고 매출액성장률이 높은 ‘성장기’에 있는 기업이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높았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사회성과인센티브가 차기 이후에도 사회적기업으로 하여금 지속적인 사회성과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민간 영역에서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하여 화폐적 단위로 지원하는 경우에 대상 기업의 특성 및 상황에 맞는 차별화된 지원이 필요하다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ocial ProgressCredit(hereafter, SPC) programs provided to social enterprises by analyzing whether theimpact of current SPC on the next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differs accordingto management performance and corporate maturity. [Methodolog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on a total sample of 785 firm-year of social enterprises for six years from 2015 to 2020using data from the Center for Social value Enhancement Studies. [Findings]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 showed that, first, the current SPC of socialenterprises have a higher impact on the next social performance than those with higher salesand sales growth rates, which are measures of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when thedependent variable was divided into social performance and employment performance, theimpact of SPC on social performance was the highest for companies in the “maturity period”with high sales and low sales growth rates, and the impact on employment performance wasthe highest for companies in the “growth period” with low sales and high sales growth rates. [Implications] This study concludes that SPC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creation ofsustainable social outcomes for social enterprises even after the next period, and providesuseful information that monetary incentives for social value creation in the private sector needto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of the target enterpri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