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보조 지눌(普照知訥, 1158∼1210)은 한국의 선(禪)을 대표하는 선승이다. 이 글에서는 조선 불교에 미친 보조의 유풍(遺風)을 ‘진화와 확산’의 관점에서 접근해 보았다. 먼저 조선시대 송광사(松廣寺)의 역사와 전통 인식에 나타난 보조 계승의식을 검토했는데, 조선 초의 수선사(修禪社) 작법 회복 주장, 송광사 중창과 16국사 현창, 지눌 저술의 간행과 부휴계(浮休系)의 보조 유풍 선양 등을 다루었다. 이어 조선 전기 고승들의 선의 기풍과 그 안에 보이는 보조 사상의 단편을 추적해 보았다. 선과 교에 모두 정통했던 함허 기화(涵虛己和, 1376∼1433)는 ‘돈오점수(頓悟漸修)’를 중시했다는 점에서, 대혜 종고(大慧宗杲)와 고봉 원묘(高峰原妙)의 간화선(看話禪)을 계승하려 한 벽송 지엄(碧松智嚴, 1464∼1534)은 ‘교학을 입문으로 한 간화선의 실천’이라는 점에서 보조 사상과 공통점을 가진다. 다음으로 청허 휴정(淸虛休靜, 1520∼1604)의 ‘간화선 우위의 선교겸수’ 방식과 조선 후기 승려 교육과정을 사상적 측면에서 보조 유풍의 지속으로 보았다. 반면 정통주의에 입각한 임제종 태고법통(太古法統)이 등장하면서 지눌의 역사상의 권위가 더는 인정되지 않는 등 보조 유풍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선(간화선)과 교(화엄)를 함께 전승해야 하면서도 조선 불교의 정체성을 선종의 임제종에서 찾으려 한 당대적 맥락에서 배태된 결과였다. 그럼에도 선교겸수와 간화선의 두 축은 보조 유풍이 조선 불교를 관통하여 지속되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이는 시기별 변화와 시대의 과제에 부응하여 보조 사상이 역사적 원천에만 머물지 않고 진화와 확산을 거듭해왔음을 의미한다.


Pojo Chinul 普照知訥 (1158-1210)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onks in the Korean Sŏn Buddhist tradition. This paper explores Pojo’s influence on Chosŏn Buddhism in terms of the evolvement and expansion of his Sŏn. The paper first examines the efforts of Sŏnggwangsa monks to inherit Pojo’s Sŏn, focusing on the recovery of Susŏnsa practices, the rebuilding of the temple and promotion of sixteen state preceptors, and the publication of Chinul’s works, as well as the Puhyu lineage monks’ advocation for Chinul’s Sŏn. The paper then investigates the influences of Chinul’s Sŏn in early Chosŏn masters’ Sŏn thought and practice, focusing on the two masters. Hamho Kihwa 涵虛己和 (1376-1433), versed both in Sŏn and Kyo doctrines, emphasized “tono chŏmsu” 頓悟漸修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while PyŏkSŏng Chiŏm 碧松智嚴 (1464-1534), succeeding the Kanhua Chan (Kanhwa Seon) of Dahui Zonggao 大慧宗杲 and Gaofeng Yuanmiao 高峰原妙, practiced this Sŏn meditation with doctrinal studies as its preliminary step. The paper also discusses Ch’ŏnghŏ Hyujŏng’s 淸虛休靜 (1520-1604) endorsement for the simultaneous cultivation of Sŏn and Kyo with the emphasis on Kanhwa Sŏn, along with the monastic training curriculum, interpreting these two aspects as evidence for the continuation of Chinul’s Sŏn. This paper, however, also recognizes that Chosŏn Buddhism showed a different aspect regarding Chinul’s Sŏn. As the Imje T’aego lineage emerged as the orthodox lineage of Chosŏn Sŏn, the historical authority of Chinul did not come to be officially acknowledged. This, in particular, resulted from a specific Buddhist context of the time in which to search for the identity of Chosŏn Sŏn Buddhism in Imje Sŏn while inheriting both Sŏn (Kanhwa Sŏn) and Kyo (Hwaom). Nonetheless, the two axes of Kanhwa Sŏn and the simultaneous cultivation of Sŏn and Kyo surely demonstrate that Chinul’s Sŏn penetrated Chosŏn Buddhism, which means that Chinul’s Sŏn continued to evolve and expand in response to various changes and philosophical needs in specific times, not staying stagnant in its historical ori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