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자립명사 ‘터’가 문법화를 거쳐 의존명사가 되고, 의존명사로서의 쓰임 중 하나가 어미화하여 선어말어미 ‘-을테-’로 재구조화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먼저 공간을 의미하는 명사 ‘터’의 의미를 기술한 두 사전 자료를 검토하여 기술된 의미가 상충하거나 포함하지 못하는 부분을 확인하여 자립명사 ‘터’의 원소적 의미와 파생 과정을 규명하였다. 또한 자립명사로서의 ‘터’가 본래의 명사적 의미 기능을 잃고 문법화하여 의존명사 ‘터’로 변화한 과정을 살피고 ‘터’가 후행하는 서술격 조사 ‘이-’와 어미가 결합하여 가지게 되는 의미의 특성과 통사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특히 의존명사 ‘터’는 ‘터’에 후행하는 서술격 조사 ‘이’가 어미와 결합할 때 ‘-테-’로 축약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터’의 선행 어미 ‘-을’과도 결합하여 ‘-을테-’로 재구조화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선어말어미 형성의 진행 과정을 살피고 말뭉치 자료에서 나타나는 언중의 사용을 근거로 인식의 변화가 일어났음을 논의하였다. 또한 선어말어미 ‘-을테-’의 사용과 제한을 검토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self-reliance noun 'teo'(터) becomes a dependent noun through grammar, and one of the uses as a dependent noun is restructured to form a Korean Prefinal Endings '-eulte-'(-을테-). I reviewed existing studies that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noun '터' meaning space, and examined the semant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터' as an dependent noun which is changed through grammarizing from original noun. Based on the progress it was discussed that a new Korean Prefinal Endings '-eulte-'(-을테-) was formed through the restructuring of the dependent noun 'teo'(터) followed by the descriptive type Korean Particle 'ida'(이다) and the verbal Endings 'eul'(-을) which preceding 'teo'(터), and this is confirmed through the use of general discourse through corpus data. In addition, the limitation and use of the word '-eulte-'(-을테-) was also review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