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관악산 북쪽 자하동(紫霞洞)의 인문경관을 자하동의 주인 신위(申緯) 를 중심으로 하여 살핀 글이다. 관악산은 정상의 연주대(戀主臺) 아래 동서남북 네 곳의계곡을 자하동이라 불렀는데 여기서는 통상적으로 자하동으로 불리는 북자하동을 다루었다. 자하동의 인문경관은 17세기 말엽 평산 신씨 집안인 신여석(申汝晳)과 신여철(申 汝哲) 형제가 이로당(二老堂)과 일간정(一間亭)을 경영한 데서 시작하였고, 그 후손인신위가 이 자하산장(紫霞山莊)을 물려받음으로써 19세기 전후한 시기 의미 있는 공간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젊은 시절 신위는 벗 서영보(徐榮輔)를 불러 함께 시를 지었고, 서영보는 자하동의 인문경관을 아름다운 산문으로까지 남겼다. 이 논문은 이러한 공간을 문학 작품과 함께 1796년 정수영(鄭遂榮)이 그린 그림, 1912년 작성된 지적도와 1913년 측량한 1/5만지도, 1950~1960년대 촬영된 사진 등의자료를 동원하여 재구하였다. 이와 함께 서울대 인문대 지역에 조성되어 있는 신위의 흉상과 시비 등의 경위와 내용을 소개하여 자하동이 인문경관을 갖춘 공간임을 기억할 수있게 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ltural landscape of Jaha-dong, north of Gwanaksan Mountain, focusing on Shin Wi, the owner of Jaha-dong. The four valleys in the east, west, north, and south under the Yeonjudae of the summit of Gwanaksan Mountain were known as Jaha-dong; this paper considers Bukjadong, commonly called Jaha-dong. The humanities landscape of Jaha-dong began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when the brothers Shin Yeo-seok and Shin Yeo-cheol, of the Pyeongsan Shin Clan, managed Irodang and Ilganjeong. After their descendant Shin Wi inherited Jaha Sanjang, the place was reborn as a meaningful space around the 19th century. When he was young, Shin Wi called his friend Seo Young-bo to write poems together, and Seo Young-bo recorded the humanities landscape of Jaha-dong as beautiful prose. Along with literary works, this paper reconstructed this space by mobilizing data such as paintings by Jeong Soo-young in 1796, cadastral maps prepared in 1912, 1/50,000 maps measured in 1913, and photos taken in the 1950s or 60s. At the same time, the details and contents of the bust and monument of Shin Wi, which were created in the College of Humanitie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were introduced so that Jaha-dong could be remembered as a space with a humanities landsca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