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수평적 임금격차에 대한 분배공정성 지각의 관점에서 공공기관간부 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보수체계인 성과연봉제가 구성원의 조직몰입에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공부문 구성원 특유의 공공서비스동기와 성과연봉제의 분배공정성 지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절차공정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개 공공기관의 간부 직원 총 24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성과연봉제의 수평적 임금격차에대한 분배공정성 지각은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대하여 정(+)적인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공공서비스동기는 수평적 임금격차에 대한 분배공정성 지각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공공서비스동기가 높은 구성원들은 수평적 임금격차에 대한 분배공정성 지각 정도와 무관하게 조직몰입의 수준이 높았다. 공공서비스동기가낮은 구성원들은 임금격차에 대한 분배공정성 지각이 높아질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절차공정성은 수평적 임금격차에 대한분배공정성 지각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a performance-based pay system, which is a compensation system for managers in public organization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rom the perspective of perceived distributive justice regarding horizontal pay dispersion. In this process, we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rocedural just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ctor employees’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and their perception of distributive justice in the performance-based pay system. To do this, we conduc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survey data from 246 managers from 20 public organization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distributive justice regarding horizontal pay dispersion in the performance-based pay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Furthermore PSM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tributive justice regarding horizontal pay dispers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pecifically, members with high PSM had a high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regardless of their perceived distributive justice. On the other hand, members with low PSM had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ir perception of distributive justice regarding horizontal pay dispersion increased. However, procedural justice was not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tributive justice regarding horizontal pay dispers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