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에, 국가배상청구소송과 행정소송 간의 관계를 돌아보게 하는 대법원판결이 선고되었는바, 이를 소개하고 분석하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해당 판결의 사안에서는 폐기물 매립장 설치와 같은 공익사업을 시행하는 지방자치단체가 사업 시행과정에서 법령상 요구되는 주민의견 수렴절차를 누락하고(심지어 주민의견 수렴절차를 진행한 것처럼 관련 서류를 위조하여) 해당 시설을 설치·운영한 것에 대하여 해당 시설 인근지역의 주민들에게 그 지방자치단체가 정신적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하는지가 쟁점이 되었다. 대법원은 이 판결에서 그동안 국가배상책임의 제한 법리로 사용되었던 ‘객관적 정당성 상실 여부’를 판단 기준으로 적용하는 대신, 지역 주민들의 행정절차 참여권과 같은 행정법상 소위 ‘절차상 권리’의 침해에 대해서는 곧바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주민들에게 정신적 손해에 대한 배상의무를 부담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고, 주민들의 절차적 권리 침해로 인한 정신적 고통이 남아있다고 볼만한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만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위자료 배상책임을 부담한다는 취지에서 ‘원칙적 부정, 예외적 인정’의 입장을 개진하였다. 이러한 대법원판결의 입장은 그동안 국가배상책임 성부와 관련하여 학계에서 집중적인 논의의 대상이 되었던 여러 쟁점들 외에 새로운 논점을 추가로 제시한 것이라는 점에서 흥미롭다. 특히 그 판시 법리 중에서 ‘행정소송을 통하여 처분이 취소되거나 처분의 무효를 확인하는 판결이 확정된 경우 등’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절차적 권리 침해로 인한 정신적 고통에 대한 배상은 인정되지 않는다.’고 하여 행정청의 위법행위로 인한 국민들의 권리구제방법으로 행정소송을 통한 권리구제와 국가배상청구소송을 통한 권리구제의 관계를 생각해 보게 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관점은 행정소송을 통한 권리구제를 원칙으로 하는 독일법체제와 비교해 보더라도 훨씬 더 엄격한 관점에서 관련 주민들의 국가배상청구 가능성을 제한하는 법리이다. 오히려, 독일 법제와 달리 비재산적 손해배상을 일반적으로 인정하는 우리 법제에 따르면 국가배상법 제2조에서 규정하는 국가배상책임의 요건, 즉 공무원의 고의 또는 과실에 따른 위법행위 그리고 이로 인한 손해의 발생이라는 요건이 갖추어졌다면 국가배상책임을 인정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배상되어야 하는 손해의 관점에서 볼 때, 절차적 권리의 침해가 문제 되는 모든 사건에서 해당 절차의 누락을 이유로 비재산적 손해배상을 인정할 수 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관련 법령에서 절차적 권리를 보장한 것에 사익보호성이 인정되고, 당사자들이 행정결정에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할 ‘기회의 상실’ 그 자체만으로도 손해의 발생을 인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주민들의 자기결정권의 침해라고 볼 여지도 크고, 행정행위의 위법성이 중대명백한 경우라면 위법한 행정행위로 발생한 정신적 고통에 대한 손해배상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부담을 우려한다면 책임의 성립 자체를 부정할 것이 아니라 배상범위를 제한하는 등의 방식으로 해결하는 것이 더 적절한 방법이다. 항고소송을 통한 권리의 구제와 국가배상제도는 그 취지를 달리 하며 항고소송을 통하여 관련 행정처분이 취소되거나 무효확인되었다는 것이 위자료의 배상을 부정할 근거가 되지는 못한다.


This article intends to introduce and discuss a recent Supreme Court decision that has us reflecting on the history of the interaction between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state compensation claims. The following serves as the foundation for the decision. A local authority that carried out a public project neglected to follow the legal process for getting locals' opinions while carrying out the project. The local government was responsible for the facility's installation and operation, and it also caused non-monetary damages to the nearby inhabitants. The main question was whether the government was accountable for the losses. Rather than relying on the decision regarding “whether objective legitimacy has been lost”, which has been utilized as a legal precept to restrict state liability, the Supreme Court made a declaration regarding the violation of administrative law's “procedural rights”, which include the right of local residents to engage in administrative processes. The Supreme Court expressed a position of “denial in principle” to the effect that the organization bears the responsibility for compensation. In light of this, it is not immediately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bears the obligation to compensate the residents for mental damages. Rather, this obligation can only be made in exceptional circumstances where it is evident that the residents' mental suffering is still a result of the infringement of their procedural rights. The stance of this Supreme Court decision is intriguing because, in addition to addressing a number of topics that have been the focus of intense scholarly debate over the state's obligation to provide compensation, it also offers a fresh perspective. In particular, liability for mental suffering resulting from the violation of procedural rights is not recognized unless there are exceptional circumstances, according to the judgment's jurisprudence, “in cases where a disposition is revoked through administrative litigation or a judgment confirming the invalidity of a disposition is finalized.” As a result, it catches our attention because it contains content that makes us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medy of rights through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the remedy of rights through lawsuits for state liability as a method of redressing the rights of the people due to illegal acts of administrative agencies. However, this point of view severely restricts the possibilities of asserting state accountability, even when compared to the German legal system, which is built on the notion of remedies through administrative litigation. Rather, the requirement for state liability stipulated in Article 2 of the State Compensation Act, that is, a public official's intentional or negligent illegal act and the resulting damage, is based on our legal system, which generally recognizes non-pecuniary damages rather than the German legal system. There is no reason not to recognize the State's liability if this is in place. In terms of compensable losses,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that non-pecuniary damages can be recognized for failure to follow the necessary procedure in all circumstances when procedural rights are violated. However, where the protection of the parties' private interests is recognized in the relevant statutes and the parties are denied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administrative decisions and express their opinions, the occurrence of damage can be recognized only by the ‘loss of opportunity’ itself. Furthermore, if the illegality of the administrative conduct is significant and obvious, compensation for mental distress induced by the illegal act should be recognized. Limiting the establishment of state culpability because of concerns about the financial burden on state or local governments is undesirable in terms of practical rule of law and the demand for adequate remedies for people's ri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