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60년 전후에 북한에서는 한룡옥과 고정옥에 의해 「녹족부인」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었다. 선행연구에서는 이를 확인하지 않고 북한 전설의 개작 가능성을 추정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돈화의 「살수대합전의 기화」(1927)를 발굴하여 북한의 연구서와 전설집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밝혔다. 선행연구에서는 북한 정권 수립 이후에 「녹족부인」 전설이 을지문덕 전승과 결부되었고, 신화적 요소가 사라져 상자에 버려지는 것이 아니라 배를 타고 중국에 갔다는 내용으로 개작되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서술을 처음으로 시도한 이는 이돈화였다. 식민지시기에 이돈화는 「녹족부인」의 내용과 사상성을 높이 평가해 문헌설화와는 전혀 다른 서사를 남겼다. 약 30년이 지나서 북한에서는 이를 다시 활용하였다. 북한에서 전후복구 과정에 사회주의적 애국주의가 강조되면서 고구려 전설 「녹족부인」이 지닌 서사성이 다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돈화의 민족 자주적 이야기가 북한에서 애국주의 사상과 교양의 육성을 위해 전용(轉用)되었음을 밝혔다.


In North Korea, pre- and post- 1960, Han Ryong-ok and Goh Jeong-ok continued their research on the legend of “Nokjokbuin.” Previous studies have assumed the possibility of adaptation without confirming it. This paper analyzed Lee Don-hwa's "The Strange Story of the Great Victory at Salsu"(1927) for the first time. Subsequently, we found that Lee's text had a decisive influence on North Korean research. Previous studies argued that after the North Korean regime was established, the legend of Nokjokbuin was linked to Eulji Munduk, and the mythical element disappeared. They also claimed that the story of Nokjokbuin's rescue of Eulji Mundeok was invented. In the colonial context, Lee appreciated the content and ideas of “Nokjokbuin” and was the first to record this legend that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About 30 years later, North Korea reused Lee's text. In North Korea, socialist patriotism was emphasized during the post-Korean War recovery process, and the narrative of the Goguryo legend "Nokjokbuin" was revitalized. Lee Don-hwa's national and self-determination narrative was appropriated by North Korea to promote patriotic ideals and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