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채만식의 『탁류』가 도시공간과 도시적 삶의 무질서를 재현한 텍스트라는 점을 논증하고자 했다. 이는 특히 초봉이 형보를 살해하기 전 도시를 배회하는 에피소드를 꼼꼼히 분석하는 과정에서 수행되었다. 이 장면에서 초봉은 정처없이 도시를 떠돌고, 이윽고 정념의 과잉상태 속에서 형보를 살해했다. 이러한 양상은 초봉을 결함이 있는 주체로, 『탁류』를 통속적인 소설로 해석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이 글은 『탁류』가 재현하는 무질서야말로 도시성의 진면목이며, 채만식은 이를 날카롭게 포착했음을 강조하고자 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세부 과정을 경유하였다. 첫째, 이 글은 초봉을 ‘여성 군중’의 구체적인 사례로서 분석했다. ‘여성 군중’이란 도시의 특권화된 주체로서 산책자와 대조적인 존재를 의미한다. 산책자는 대체로 남성으로 젠더화되며 군중의 수동성, 비이성적 측면은 대체로 여성 젠더와 공명한다. 초봉은 도시공간 내부를 ‘생각없이’ 이동하고, 냉철한 관찰력을 발휘하지 못하며, 현재나 미래에 대한 합리적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 이는 그녀를 군중의 한 사례로 환원시킨다. 그런데 채만식은 초봉이 바로 이러한 무계획성에 따라 형보를 살해하는 장면을 연출했다. 이때 초봉의 군중성은 합리적 계획으로 무장한 남성 지배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 역량으로 전환됐다. 이러한 점을 강조함으로써 산책자의 특권적 지위를 해체하고, 그 개념에 아로새겨져 있는 근대적 주체성에 대한 환상을 비판하고자 했다. 둘째, 이 글은 『탁류』가 초봉을 활용하여 근대적 무질서의 플롯을 연출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탁류』에서 초봉은 억압적인 타자를 극복하기 위한 합리적이거나 진보적인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 이것은 초봉을 결함의 주체로, 그리고 『탁류』를 통속적인 텍스트로 해석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초봉이 군중으로서 정처없이 움직이며 예측불허로 행동한다는 점은, 도시공간이 복잡하고 무질서하여 돌연한 마주침들의 연쇄를 만들어낸다는 점과 관련이 있다. 이때 초봉은 단순히 무계획적인 인물이 아니라, 복잡한 도시공간의 ‘인식적 지도’를 작성하는 인물로 재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독법에 따르면 초봉은 무질서를 체현하는 주체로서, 근대성의 복합적인 측면을 드러내는 표상이다. 이러한 주체는 한편으로 특권적인 주체(산책자)가 아니더라도 도시에서 능동적인 힘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더욱 중요하게는 이성과 질서라고 하는 근대성의 기표들을 반성하는 데 유용한 단초를 제공한다.


This study argue that Chae Man-sik’s Muddy Stream is a text that represents disorder of urban space and urban life. For this purpose, the scene that Cho-Bong wandering around the city before killing Hyungbo is closely analyzed. In this scene, Cho-Bong had wandered around the city, losing her ‘reason’, and soon killed Hyungbo in mindless rage. This led to the interpretation of Cho-Bong as a defective subject and Muddy Stream as a vulgar novel. However, this article tried to display that the disorder represented in Muddy Stream is the true face of urbanity, and Chae Man-sik sharply captured it. For this purpose, I passed through the following two detailed targets. First, I analyzed Cho-bong as a specific example of 'female crowd'. The term ‘female crowd’ is in contrast to the privileged urban subject, the flaneur. While flaneurs are generally gendered as male, the passive and irrational aspects of the crowd generally resonate with female gender. In Muddy Stream, Cho-Bong was unable to autonomously move, or observe the city like a flaneur. Instead, she became an anonymous monster, and becoming violent through irrational impulses. This disorder served as an ability to counter men armed with selfish rationality. By emphasizing this point, the privileged status of flaneur and the illusion of modern subjectivity had been scrutinized. Second, it was emphasized that Muddy Stream is creating a plot of modern disorder. In Muddy Stream, Cho-Bong failed to make a reasonable plan. In this reason, Cho-Bong has been interpreted as a defective subject. In addition, Muddy Stream was evaluated as a vulnar text. However, the fact that Cho-Bong moves aimlessly as a crowd and acts unpredictably is related to the complexity and disorder of urban space. In this point, Cho-Bong can be reevaluated as a person who creates a ‘recognitive map’ of complex urban spaces, not just an unreasonalbe person. According to this reading, Cho-Bong is a subject that embodies disorder and is a representation that reveals a complex aspect of modernity. She shows that she can exert active power in the city even if she is not a privileged subject, the flaneur. More importantly, she provides a useful starting point for criticizing on the signs of modernity called reason and 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