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Labor migration, a significant form of mobility,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shaping urban diversity across the Asian region. Since 2007, labor migration from Nepal to South Korea, facilitated by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has led to the remarkable expansion of Seoul’s “Nepal Town.” This ethnic neighborhood has not only transformed the city’s physical landscape by facilitating encounters with diverse materials and cultural practices, but it has also provided socially and spatially marginalized Nepali migrants with a public space to connect with the broader urban environment. This paper investigates how economically disadvantaged Nepali workers, who face social and spatial exclusion, engage in the practice of place-making to gain access to public spaces within a global city. Drawing on Staeheli et al.’s (2009) discussion on the struggles of marginalized groups to access the public realm, I focus specifically on the spatial strategies of Nepalese restaurants and their role in creating exclusionary spaces where Nepali migrants can feel secure, express their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identities, and ultimately facilitate their integration into the public sphere. The argument presented underscores a paradoxical relationship in which exclusionary spaces provide safe spaces for low-wage Nepali workers to be part of the public in the global city.


아시아의 대표적인 이동 형태인 노동 이주는 지역의 도시 다양성을 형성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2007년이후부터 고용허가제를 통해 네팔에서 한국으로의 노동 이주가 증가하자, 서울의 ‘네팔타운’은 급격히 확장되었다. 이 민족 거주지는 다양한 물질과, 문화의 만남 속에서 도시의 풍경을 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사회-공간적으로 소외된 네팔 이주민들이 더 큰 공공의 영역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하나의 공공 장소가 되었다. 본 논문은사회적, 공간적으로 배제된 네팔 출신의 저임금 노동자들이 글로벌 도시 서울에서 어떻게 공공 영역으로 진입하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공공 영역에 접근하기 위한 소외계층의 투쟁을 논의한 Staeheli et al.(2009)의 개념적 틀을 이용해, 네팔 식당들의 배제적 공간 만들기 전략들, 그리고 이러한 배제적 공간이 네팔 이주민의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주체성을 배양하고 공공 세계로의 진입을 돕는 과정을 분석한다. 본 논문은 저임금 네팔 노동자들에게 안전함을 제공하는 도심 속 배제적 공간이 역설적이게도 이들이 글로벌 도시 대중의 일원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있음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