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의 토대가 되는 형식화용론을 집중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이를 위하여 제2장에서는 하버마스가 주체철학에서 언어철학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하는 언어적 전회를 수행하게 된 것이 이른바 비판이론 내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호르크하이머(M. Horkheimer)와 아도르노(T. W. Adorno)의 도구적 이성 비판이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고 어떠한 주장을 하였으며, 또한 하버마스는 이것을 어떻게 비판적으로 계승하고자 하는 것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하버마스의 언어적 전회는 어떠한 기획인지 검토해보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그 연구대상과 연구방법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밝혀보고자 한다. 또한 제4장에서는 형식화용론의 내용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언어행위의 유형 구별과 타당성 주장 등 형식화용론의 핵심적 내용을 구체적으로 다루어 볼 것이다. 끝으로 제5장에서는 이러한 형식화용론의 도입이 그의 비판적 사회이론에서 가지는 의미를 살펴본다.


In this article, I want to focus on Habermas’s formal pragmatics as the foundation of his critical social theory. In order to do so, in chapter 2 I will examine the significance of Habermas’s linguistic turn from a philosophy of the subject to a philosophy of language. In particular, I will examine how M. Horkheimer and T. W. Adorno criticized instrumental reason, and how Habermas adopted their theory critically. And in Chapter 3, I will examine Habermas’s linguistic project. I will specifically explain his object and method. In chapter 4, I will examine the content of the formal pragmatics, including the distinction of types of speech acts and validity claims. Finally, in chapter 5, I will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is introduction of the formal pragmatics for his critical social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