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통일한국 시대를 대비하여 탈북대학생의 기독교 신앙 형성, 학업 역량 강화와 올바른 정체성 형성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중, 장기적으로 개발하고 적용 후 효과 분석 및 환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Branch(2009)의 ADDIE(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모형을 바탕으로 서울 소재 기독교 대학의 신학 및 기독교교육 전공 탈북대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신앙 형성과 회복을 위해 매주 한 시간 이상 북한과 통일을 위한 기도 모임을 진행하였다. 둘째, 학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탈북학생들에게 가장 시급한 영어와 컴퓨터 튜터링을 매 학기 약 10~13회 이상씩 실시하도록 하는 튜터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또한 국어 글쓰기 특강 및 신학 전공의 학업 지원을 위해 헬라어와 히브리어 등의 튜터링도 병행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 사회의 소속감과 올바른 정체성 확립을 위해 지역사회 개척 교회를 방문하여 봉사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고, 한국 전쟁 등 올바른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통일의 필요성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앞으로 통일한국시대를 대비하여 통일선교사 또는 목회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탈북대학생을 기독교 신앙적 측면, 학업 지원, 역사 인식 제고 및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통한 올바른 정체성 형성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했다는 데에서 기독교와 통일을 연계한 학문과 탈북민을 위한 교수 학습 방법 측면에서 의의를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implement, and evaluate a comprehensive support program for North Korean defectors equipped for their future roles as Christian missionaries or pastors in a unified Korea. The program encompassed three key aspects: Christian faith formation, academic competence enhancement, and identity formation through understanding Korean history and community service learning in Korean society. To this end, a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North Korean defectors majoring in the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at a Christian university in Seoul based on Branch(2009)'s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model. The specific programs are listed as follows: First, for Christian faith formation, weekly prayer meetings centered on unification and spiritual restoration were conducted for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To enhance academic competence, customized tutoring programs were designed to cater to the specific needs of defectors, including English and computer tutoring. Special courses, such as Korean academic writing workshops and tutoring in Hebrew and Greek for theology majors, were also offered. Finally, to build social belonging and identity in Korean society, a community service program was introduced, facilitating defectors' volunteering and integration with local churches to foster a sense of belonging. In addition, historical learning activities, particularly those related to the Korean War and modern Korean history, were organized to deepen defectors' historic knowledge. Furthermore, the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ort program every year and developed a better program over the course of four years, from 2019 to 2022. This research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e academia of Christianity, national unification, and pedagogy as it presents a holistic approach to supporting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ir preparation for a unified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