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토지』(土地)의 임명희와 『주홍 글자』(The Scarlet Letter)의 헤스터 프린(Hester Prynne)이 보여주는 여성 성장서사를 비교함으로써 한국과 미국의 근대화 시기를 배경으로 여성 인물이 주체적인 여성상을 찾아가는 과정을 분석한다. 두 인물은 모두 근대화 시기의 가부장제 사회 속에서 불행한 결혼 생활을 한다. 그리고 자의 또는 타의로 남성 인물들과의 삼각관계의 중심에 놓이는 바람에 주변 사람들에게 ‘요부’라고 낙인찍힌다. 낙인은 작중에서 임명희는 “박제된 학”으로, 헤스터는 “주홍 글자”의 이미지로 그려지는데, 이는 가부장제 사회의 모순적이고 부조리한 성격을 상징한다. 사회적 낙인과 죄의식 때문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두 인물은 가부장제 사회의 부조리함과 자신의 처지를 사색한다. 이러한 가부장적 도그마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두 인물은 ①전남편의 폭력으로 상징되는 남성 중심의 권력에서 벗어나고, ②주체적인 여성의 삶의 모습, 즉 ‘생명력’ 있는 삶을 추구한다. 생명력 있는 삶이란 임명희의 경우에는 ‘창조의 능력’을 발휘하는 삶으로, 헤스터 프린의 경우에는 ‘여성의 건강한 감정’을 펼칠 수 있는 삶으로 나타난다. 두 인물이 추구한 주체적인 여성의 삶은 공통적으로 타인과의 연대를 지향하고 있다. 살았던 구체적인 시기나 장소는 다르지만, 임명희와 헤스터 프린은 가부장제 사회가 여성에게 부과한 낙인을 극복하고, 주체적인 여성의 삶으로서 타인과 연대하는 삶을 선택했다는 점에서 근대화 시기 여성이 성장하는 서사로 엮어 읽을 수 있다.


This article compares the narrative of women’s growth presented by Lim Myung-hee in “Toji” and Hester Prynne in “The Scarlet Letter” to analyze the process of female figures finding independent female images against the backdrop of modernization in Korea and the U.S. The two women both lived in an unhappy marriages in a modernized patriarchal society. And because two women are placed at the center of a triangular relationship with male characters, they are branded as a “enchantress” by people around it. The stigma is in the works, and Lim Myung-hee is depicted as a “stuffed crane” and Hester as a “scarlet letter” which symbolizes the contradictory and absurd nature of patriarchal society. Suffering from social stigma and guilt, the two characters reflect on the absurdity of a patriarchal society and their circumstances.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is patriarchal dogma, the two characters seek to break away from the male-centered power symbolized by their ex-husband’s violence and to pursue an independent woman’s life, which means vitality life. In the case of Lim Myung-hee, life with vitality is a life that shows “the ability to create,” and in the case of Hester Prynne, a life that can develop “the healthy emotions of women.” The independent women’s lives pursued by the two characters are aimed at solidarity with others in common. Although the specific times and places of life are different, Lim Myung-hee and Hester Prynne can be read as a narrative of women’s growth during the modernization period in that they overcame the stigma imposed on women by patriarchal society and chose to live in solidarity with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