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문학사에서 김동인은 문학의 범주에 ‘예술성’의 개념을 도입하고 순문학의 영역을 개척함으로써 한국 근대문학의 수준을 한 단계 올려놓은 작가로 평가된다. 이러한 평가는 『창조』의 창간과 더불어 문학에 발을 들여놓은 이래 김동인 자신이 다양한 형식의 문단회고를 통해 평생에 걸쳐 구축하고 재생산해낸 자기표상에 근간하고 있다. 실제로 20년대 후반 이후 해방기에 이르기까지 김동인은 순문학과는 거리가 먼 길을 걸었으면서도 순문학/예술의 개척자라는 자기표상을 한사코 포기하지 않았다. 오히려 순문학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더더욱 이러한 자기표상의 구축과 재생산에 몰두했는데, 김동인의 이러한 자기표상 작업의 한가운데는 언제나 이광수가 자리하고 있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이광수를 직접 소환하고 있는 비평 「춘원연구」(1934〜1939)와 해방 후의 단편 「반역자」(1946)이다. 이 글은 이 두 텍스트를 중심으로 김동인이 이러한 자기표상의 구축과 재생산 작업 및 문학적 생산성을 위한 방편으로서 이광수를 소환하고 표상/재현해낸 양상에 주목했다. 그리고 그것이 순문학/예술의 개척자라는 김동인 고유의 문학적 상징자본을 동원한 자기표상 작업과 결부된 것임을 논증하는 한편, 이러한 자기표상 작업이 문단 내부의 공인된 문학적 위상을 획득하기 위한 문학적 정치의 산물임을 밝히고 그 문학적 유산이 오늘날 여전히 한국 문단에 드리우고 있는 그늘을 짚고 있다.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Kim Dong-in is evaluated as a writer who raised the leve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the artistic’ into the category of literature and pioneering the realm of pure literature. This evaluation is based on the self-representation that Kim Dong-in himself has built and reproduced throughout his life through various forms of literary retrospective since he set foot in literature with the founding of Creation. In fact, from the late 20s to the liberation period, Kim Dong-in did not give up on his self-representation as a pioneer of pure literature/art, even though he walked a long way from pure literature. Rather, as the distance from pure literature increased, he devoted himself more and more to the construction and reproduction of this self-representation. What is interesting is that Lee Kwang-su was always at the center of Kim Dong-in’s self-representation work. Representative examples are the critical piece “Chunwon Research”(1934〜1939) and the post-liberation short story “The Traitor”(1946), which directly summons Lee Kwang-su. Focusing on these two texts, this article paid attention to the aspect in which Kim Dong-in summoned and represented Lee Kwang-su as a means for constructing and reproducing such self-representation and for literary productivity. And while arguing that it is related to the self-representation work that mobilized Kim Dong-in’s unique literary symbolic capital as a pioneer of pure literature/art, it is revealed that this self-representation work is a product of literary politics to acquire official power within the literary circle, and points out the reality that this politics of pure literature is still being repeated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Dong-in Literary Award to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