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교직적성인성검사 추수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교직적성인성 검사의 요소들을 교직역량에 따라 구분하고 이들 교직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4년제 K대학에서 교직을 이수하는 2-4학년 학생 474명을 전수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14개의 교직적성인성검사 변인들을 인지적 역량, 정의적 역량, 실천역량, 교직소명 역량 등의 4가지 역량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분류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델파이 조사와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신뢰도 분석을 통해 확보하였다. 교직역량의 평균값은 교직소명 역량(49.5), 실천역량(49.1), 정의적 역량(48.7), 인지적 역량(48.4)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역량의 구조적 관계는 인지적 역량은 실천역량에 .57, 정의적 역량은 실천역량에 .42로 나타났으며, 실천역량은 교직소명에 .97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lassify the variables of teaching aptitude test in according to teaching competencies and analysis of its structural relationship. Thus this will be useful to develop a program cultivating aptitude and character for teacher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474 cases which are all students of 2~4 grades of teacher training course in K univers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14 variables of the test are classified into 4 teaching competencies. The values of validity are acceptable which analyse through delphi method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values of reliabilities are .80-.86. And the means of each competencies are as follows, ‘teaching vocation competency’ 49.5, ‘practical competency’ 49.1, ‘affective competency’ 48.7, ‘cognitive competency’ 48.4 from highest scores. Seco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re as follows. The effect of ‘cognitive competency’ on ‘practical competency’(.57) is higher then that of ‘affective competency’(.42). The effect of ‘practical competency‘ on ‘teaching vocation competency’ is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