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그간 학교 밖 청소년 관련 연구와 개입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저연령(만 9-12세) 학교 밖 청소년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사회성 프로그램과 관련한 요구를 파악하여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문헌 연구와 관련자를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목표, 주제 영역, 활동 및 내용 구성 원리 등을 도출하고 구체화하였다. 그 결과, 저연령 학교 밖 청소년들이 또래관계에서 겪는 고유한 상황과 경험, 어려움과 요구를 반영한 총 6개의 주제 영역을 다루는 17개의 유닛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시범운영과 효과검증을 위해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2곳에서 총 11명의 참여자와 3명의 지도자를 대상으로 시범운영을 실시하고 사전-사후검사와 프로그램 만족도 검사, 프로그램에 대한 지도자 평가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비록 주도성, 협동공감, 주장통제 등 사회적 기술과 자아존중감을 측정한 사전-사후 점수는 센터별 참여자의 수가 적고, 영역 간 이질성이 크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지만, 참여자 프로그램 만족도와 지도자 평가에서는 모두 높은 평가를 받았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current literature on out-of-school youth lacks focus on young adolescents. Thus, intervention for them has been limi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ocial competence program for out-of-school youth in early adolescence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 first identified goals, subject areas, activities, and content composition principles b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and a series of needs analyses of related personnel. We then designed the program that consisted of 17 units in six subject areas reflecting the unique situations, experiences, difficulties, and needs of the young out-of-school adolescents for peer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 conducted pilot research with a total of 11 participants and three leaders at two local out-of-school youth centers and collected data via pre- and post-tests, program satisfaction surveys, and program leader evaluations. Although the pre-post scores measuring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did not show an effec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due to the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and leaders report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experience.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social competence program for out-of-school youth in early adolescence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