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세계적인 추세 중 하나인 전자정부개발이 아랍 국가들과도 무방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민주주의 국가에서 주도하던 전자정부개발이 전제정치를 채택하고 있는 아랍 국가들에서도 활발히 개발 중인 점이 고무적인 사실로 다가온다. 그러나 하향식 전달을 비롯한 전자정부의 일부 특성과 전자정부개발이 대내외적 합법성 취득에 유용하다는 점은 전자정부개발이 전제정치 국가들의 합법화 도구 중 하나로 개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선거 전제정치보다 합법성이 부족한 폐쇄적 선거정치가 전자정부개발에 더욱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논리적 추론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폐쇄적 전제정치의 아랍 국가들이 더욱 높은 전자정부개발을 형성해 나가고 있다는 사실을 수치상으로 제시하고 선거 전제정치와 폐쇄적 전제정치로 양분화되는 아랍 21개국을 대상으로 패널 자료들을 구축하였다. 이를 검정 결과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난 합동OLS를 적용하여 폐쇄적 전제정치가 전자정부개발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The phenomenon of Arab countries adopting autocracy in e-government development is an interesting case compared to the narrative of e-government development led by democratic countries. However, some characteristics of e-government, including top-down delivery, and the fact that e-government development is useful for acquiring internal and external legitimacy, suggest that e-government can be developed as one of the tools for legitimization in autocratic countries. In particular, it can be logically inferred that closed autocratic countries, which lack legitimacy compared with democracies, will have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e-government development. By using panel data and pooled OLS, this study suggests the significant results that closed autocracy positively affects e-government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