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읽기 부진 실태를 조사하고 읽기 부진의 원인을 텍스트 유형 요인에 주목하여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읽기 부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정보 텍스트 중심의 읽기 부진아 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서사 텍스트와 비교하여 읽기 부진아의 독해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113명, 고등학교 2학년 110명을 1차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먼저,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독해 능력과 태도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중 읽기 능력이 낮고, 읽기 태도가 부정적인 학생들을 변별하였고, 이 자료를 토대로 각 학년의 학생을 직접 지도한 국어 교사와 담임 교사의 자문 의견(학교 성적, 국어 수업 중 읽기 능력 관찰 등을 토대로 한 전문가적 판단)을 추가하여, 최종 49명을 읽기 부진 학생들로 추정하고 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2차로 설문 결과를 심층 분석하였다. 끝으로 읽기 어려움이 크다고 답한 10명의 학생들을 선정하여 심층 면담하였다. 분석 결과, 읽기 부진 학생들은 서사 텍스트보다 정보 텍스트 유형을 상대적으로 더 어려워함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로는, 설문을 통해 관심이 없거나 낯선 주제 때문이라는 응답이 많았고, 면담을 통해 개념과 내용에 대한 배경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정보 텍스트가 어렵고 재미없다는 추가 답변을 얻었다. 또한 서사 텍스트에 대해서는 독서 경험의 빈도는 상대적으로 높으며, 친숙도, 흥미도도 높게 나타나지만, 문학 평가에서는 낮은 성취를 보이기 때문에 결국 서사 텍스트도 어렵게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생 심층 면담을 통해서는 정보 텍스트를 어려워하는 이유로, 읽기 전략의 부재, 상대적으로 더 쉽다고 생각하는 서사 텍스트를 어려워하는 이유로는 문학적 맥락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poor reading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and second year of high school, to examine its causes in various ways by paying attention to text-type factors, an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poor reading. To supplement existing research on children with poor reading centered on expository texts, we examined the reading the reading aspects of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ared to narrative texts. To this end, 113 students in their third year of middle school and 110 students in their second year of high school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first study. First, we administer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on the reading abilities and attitudes of all students. Based on these data, the final 49 students were estimated to be poor reading students, and the results of the second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by including the advice of Korean and homeroom teachers who directly guided students in each grade. Finally, 10 students who answered that it was difficult to read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in depth. The analysis revealed that students with poor reading experience found it relatively more difficult to type expository texts than narrative texts. Many answered that it was because of an uninteresting or unfamiliar topic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others that expository text was difficult and not fun due to a lack of background knowledge of concepts and content. In addition, for narrative text, the frequency of reading experience and familiarity and interest were relatively high; however, this type of text shows low achievement in literary evaluation and is therefore also difficul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tudents, we found that the reasons for difficulty with the expository text, the absence of a reading strategy, and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literary context were the reasons for difficulty with the narrative text, which they thought was relatively eas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