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일반신본풀이의 질서 속 신직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여성이라는 성별이 어떻게 다루어지는가를 중심으로, 옥황상제를 중심으로 재편된 질서 속 여신이 처한 자리를 고찰했다. <할망본풀이>는 두 여신의 대결 서사이자, 당신본풀이에서 일반신본풀이로의 질서의 변화 과정이 담긴 신화로서 논의되어 왔다. 각기 다른 질서를 상징하기에 명진국따님아기와 동해용왕따님아기가 각각 삼신으로서의 직능을 익히는 방법에도 차이가 있다. 이때 명진국따님아기는 중앙집권적 질서 속에서 학문적 지식으로 직능을 습득한다. 그 속에서 여성으로서의 경험과 특성은 삭제된다. 그러는 한편 여성이라는 성별은 명진국따님아기의 자질을 시험해야 하는 이유와 모욕의 사유로서 작용한다. 삼신은 임신·출산·육아라는 여성의 고유 영역을 관장하는 신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좌정에 있어 여성이라는 성별은 유의미하지 않으며 오히려 그를 트집 잡을 수 있는 요소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주목함으로써 질서의 재편 속에서 여성 신격이 삼신이라는 높은 신직을 획득하고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자질과 그것의 의미를 고찰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osition of the goddess in the reorganized order by exploring how the gender of women is treated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god. Specifically, the myth <Samseung Halmangbonpuri> is discussed as it contains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ystem of the myth. The way in which the two gods acquire knowledge differs based on their gender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Samshin, competence is acquired through academic knowledge, which deletes the experiences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women. Furthermore, the gender of women is often used as a reason to find fault with and insult Samshin. Despite being a god who controls the unique areas of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the gender of a woman is, paradoxically, a reason for slandering her when becoming a god. By considering these points, this paper examines the qualities necessary for a goddess to become a higher god and maintain her position in the reorganization of the order, and what this means for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goddess in myt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