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부터 일상 회복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유아의 초등학교 입학경험을 탐색했다. 연구자는 2022년 12월부터 2023년 4월까지 6명의 유아 및 어머니와 면담해생성된 자료로 회절적 읽기를 시도했다. 재배치된 의미는 유아가 마스크 쓰기가 해제된 학교에서 마스크 쓰기를 바라면서 초등학교 정보를 소비하고 재생산하며 졸업과 입학 의례를 거쳐 교실 질서와 내부작용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입학 경험은 마스크 쓰기에 대한 그들의 이해와 맞닿아 있다. 둘째, 유아의 입학 경험은 독특하게 재/생산된 학교에 ‘관한’ 경험에서 시작된다. 셋째, 유아의 입학은 경계 지대에서 수행되는졸업과 입학 의례를 거쳐 공식화된다. 넷째, 학교에 입학한 유아는 내부작용을 통해 교실 질서의 의미 생성에 참여한다. 본 연구는 최근 유초연계 교육과정 이해와 실천에서 실제 초등학생이 되는 유아의 시각을 환기한다는 점과 유아가 연구를 통해 자기에 대해 말해봄으로써새로운 이야기 생성에 참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of children who entered elementary school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I interviewed six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between December 2022 and April 2023 and tried a “diffractive reading” of the data. The results of the arrangement are as follows. Young children: wearing masks at schools where they do not need to wear masks, consum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about elementary school, and becoming first graders after graduation and admission ceremonies, intra-acting with the classroom order. Based on the results, young children's experience of entering school is linked to their understanding of wearing masks. Second, young children's school experiences begin with a re/produced experience “about” the school. Third, young children's admission is formalized through the rite of passage via existing boundaries. Fourth, in school, young children participate in making meaning of classroom order through intra-action. It is meaningful that young children showed their perspectives about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the transition curriculum, and participated in new story-making by talking about themselves in th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