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근대중국에서 활발하게 논의되었던 무정부주의와 함께 논의되었던 여성인권담론을 무정부주의자이면서도 여권운동가였던 하진(何震)의 ‘여계혁명’론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하진의 여성인권담론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당시 대표적인 무정부주의 잡지였던 『천의보』와 『『신세기』의 여성담론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두 잡지로 대변되는 근대중국의 무정부주의 주장과 달리 하진은 여성혁명에서 출발하여 사회혁명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보았으며, 그것은 여자와 남자 간의 차별을 없애는 것만이 아니라 여자와 여자, 남자와 여자 등을 비롯해 이 세계의 모든 차별을 없애야 완성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것은 여성혁명의 무정부주의혁명의 하위담론으로 이해했던 다른 무정부주의자들과 구별된다.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discourse on women’s human rights, which was actively discussed in modern China along with anarchism, focusing on Hezhen, an anarchist and a feminist activist.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ezhen’s discourse on women's rights, I would like to take a look at the discourse on women in Tianyi and Xinsheji, which were representative anarchist magazines at that time. Contrary to the anarchism of modern China, which was represented by the two magazines, Hezhen saw that it should start with the women's revolution and move toward the social revolution, not only to eliminate discrimination between women and men, but also to eliminate all discrimination in the world. It was distinguished from other anarchists who understood women’s revolution as a sub-dialect of the anarchist rev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