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 연구 주제: 충남도청 산하 공공의료원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일터의 구조적 요인과 개인 요인이 직무 및 생활 불만족, 직무소진,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했다. · 연구 배경: 지역사회의 건강과 생명을 책임진다는 측면에서 공공의료원 종사자들의 노동환경, 건강, 직무 수행 역량 등은 국민의 안전과 직결되어 있다. 따라서 공공의료원 종사자들의 만족도 및 건강 문제에 대해서 재조명이 필요한 시점이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공공의료원 종사자들의 만족감 및 건강을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종속변인들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직장의 구조적 요인뿐만 아니라 개인의 행동 요인까지 아울러 탐색함으로써, 개인과 직장 측면에서 개인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였다. · 연구방법: 충청남도 소속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들로부터 수집한 총 299부의 설문조사자료에 대해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직장 내 폭력 경험은 종사자들의 직무불만족, 생활불만족, 직무소진 가능성을 높였으며 건강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조직안전문화와 건강증진행위는 종사자들의 직무불만족, 생활불만족, 직무소진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으며 건강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의료원 종사자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해 직장 내 폭력 경험, 조직안전문화, 건강증진행위 등 기존 연구에서 비교적 덜 관심을 기울인 요인들에 주목하여 관련 연구의 폭을 확장시켰다는 측면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지며, 다양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Research topics: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workplace and individual factors on job and life dissatisfaction, burnout, and health condition for workers at public medical centers in Chungcheongnam-do. · Research background: To deliver effective health care to the public, the work conditions and well-being of public medical center workers need to be carefully examined.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This study built a research model with multiple dependent variable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and health of public medical center workers thoroughly. It also looked for various ways to enhance employees’ health by considering both the workplace and individual factor. · Research method: This study performed regression analysis on 299 survey data gathered from public medical center workers in Chungcheongnam-do. · Research results: Workplace violence raised the likelihood of workers’ dissatisfaction with their job and life, and burnout, and harmed their health.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reduced workers’ dissatisfaction with their job and life, and burnout, and improved their health.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is study focused on factors that have been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such as workplace violence,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o improve the quality of working life of public medical center workers. This study offers various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