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생명인문학의 정립을 위한 일종의 시론으로서 동아시아의 생명의식을 다룬 것이다. 이러한 생명의식을 살펴보는 것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이글은 현대의 윤리적 채식주의에서 주장하는 몇 가지 이론적 명제들을 동아시아의 고전에 대입시켜 본 것이다. 원칙적으로 이러한 논제는 대체로 동아시아의 고대 인문학과 명시적으로 접점이 형성되지는 않으나, 현대 철학과 고전 인문학의 소통을 이끌어 낼 수는 있을 듯하며 향후 고전 인문학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할 수 있을 듯하다. 채식주의는 고대로부터 존재하였으나, 현대의 채식주의를 주도하는 윤리적 채식주의는 상당히 복잡한 철학적 배경을 갖는다. 이 논문에서 다룰 명제에 대해 요약하자면, 이들은 쾌락과 고통을 느낄 수 있는 존재(공리주의), 또는 외부 세계에 대한 이해의식을 가지고 스스로 삶의 주체가 되는 존재(도덕적권리론)인 생명체는 모두 동등하다고 주장한다. 동아시아에서도 동물이 쾌락과 고통을 느끼며, 삶에 대한 욕망을 느끼는 존재라는 점은 인정하지만 이것은 인간과 동물이 갖는 하한선으로서의 공통점이지 인간과 동물, 동물들 상호 간에도 차등이 존재한다고 여긴다. 즉 동물이 고통을 느낀다는 점에 동의한다 해도 그 고통에 공감하느냐 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크게 보면 동물에게 고통이 있음을 인지는 하지만 외면해도 될 현상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으며, 소수에게서는 동물의 고통에 공감하여 측은지심에서 동물의 행복추구권, 동물의 생존권을 보호해야 한다는 주장도 보인다. 요약하면, “인간과 동물의 절대적 평등성”은 ‘불살생’에 대한 논리적 조건관계가 아니며, 양자 사이에는 논리적 필연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만 이 점을 좀 더 심도있게 논하려면 “인간과 동물의 절대적 동등성”, “종족주의에 대한 비판” 등을 다루어야 하며, 이것이 실제 이 논문의 주요한 논제라 할 수 있는데 지면관계상 여기에서 다룰 수 없으므로 후속 논문에서 다루기로 한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onsciousness of life in East Asia as a kind of poetry for the establishment of life humanities. There are contradictions and cyclical relationships between death and generation, eating and eating in life phenomena. Humans can pay attention to contradictory relationships or cyclical relationships while observing this life phenomenon. At this time, it can be said that vegetarianism was mainly focused on contradictory relationships. Based on this point, this article examines the perception of life in East Asia under the theme of the main issues raised in vegetarianism. The argument for vegetarianism itself has existed since ancient times, but what we deal with here is practical vegetarianism based on ethical philosophy. In principle, these topics generally do not explicitly form a point of contact with ancient humanities in East Asia, but they may lead to communication between modern philosophy and classical humanities. Chapter 2 summarizes ethical vegetarianism, and they argue that creatures that can feel pleasure and pain (utilitarianism) or who become the subject of life (moral rights theory)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outside world are all equal. In East Asia, animals are beings who feel pleasure, pain, and desire for life, but this is common as a lower limit between humans and animals, an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humans, animals, and animals. At this time, even if you agree that animals feel pain, it is a different matter whether you sympathize with the pain. Therefore, although it is recognized that animals have pain, it tends to be regarded as a phenomenon that can be ignored, and in the minority, it is argued that the right to seek happiness of animals and the right to survive should be protected in sympathy with animal suffering. In conclusion, “absolute equality between humans and animals” is not a logical condition relationship for “No killing” and there is no logical inevitability between the two. However, in order to discuss this point in more depth, the first quadrant’s “absolute equality between humans and animals” and “criticism of ethnicity” should be dealt with, and this is the main thesis of this paper, but it cannot be dealt with here due to paper relations, so it will be dealt with in a follow-up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