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진성 리더십이 주도적 업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와 성실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 436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성 리더십은 주도적 업무행동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몰입은 진성 리더십과 주도적 업무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실성은 진성 리더십과 주도적 업무행동의 관계에 대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진성 리더십이 주도적 업무행동을 장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조직몰입은 이러한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욱이, 구성원의 성실성 수준에 따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가 긍정적으로 조절되는지 결정된다. 본질적으로, 구성원이 더 성실할수록 조직몰입을 통해 전달되는 주도적 업무행동에 대한 진성 리더십의 영향력이 더 명확해짐을 의미한다. 이는 개인의 성격 특성, 리더십 스타일 및 조직적 유대의 중요한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주도적 업무행동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접근 가능성, 조직 내에서 몰입 문화 구축,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 설계의 필요성 및 개인차를 고려한 구성원의 선발 및 교육 방안 제공에 관한 연구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cientiousness in the process by which authentic leadership influences proactive work behavior.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436 employees working in Korean compan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uthentic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oactive work behavior. Seco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proactive work behavior. Third, conscientiousness was found to have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moder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proactive work behavi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uthentic leadership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couraging proactive work behaviors an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plays a mediating role in this relationship. Furthermore, the level of conscientiousness of employees determines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positively moderated. In essence, the more conscientious employees are, the stronger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on proactive work behaviors conveyed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highlights the important interplay of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leadership style, and organizational ti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growing body of research on different approaches to enhancing proactive work behavior, the need to build a culture of engagement within organizations, and the need to design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selection and training of employ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