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Sir Orfeo explores the ambivalent nature of categorized dichotomy dividing civilized humanity and savage inhumanity by having Orfeo and the fairy king intrude on the realms of each other. Although the fairy king and his companions display familiar tropes of courtly activities and conducts similar to Orfeo’s own court, their refined civility comes across as uncanny due to the alien nature of the Otherworld. Conversely, Orfeo and Heurodis experience traumatic loss of legible humanity through their encounters with the fairy king, fashioning themselves into something inhuman as they leave the comfort of human society. Heurodis’s madness is especially unsettling, sinc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amage sustained on her person renders her inaccessible as a courtly queen. The “happy” ending of the poem is thus unsatisfactory from the dynastic standpoint, which is in turn an expression of the overarching thematic concern with narrative ambiguity and fractured dualism.


『오르페오 경』은 오르페오와 요정 왕이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는 과정을 통해 문명화된 인간성과 야성적인 비인간성을 나누는 이분법적 분류의 모호성을 탐구한다. 요정 왕과 그 신하들은 오르페오의 궁정과 비슷한 귀족적인 활동과 행동방식을 보이나, 이들의 세련된 문명성은 별세계(Otherworld)의 이질적 특성으로 인해 오히려 낯설게 (uncanny) 다가온다. 이에 반해 오르페오와 휴로디스는 요정 왕과의 만남으로 인식 가능한 인간성을 상실하는 트라우마적 경험을 하며, 인간 사회를 떠나면서 스스로를 비인간적인 존재로 재구축하게 된다. 휴로디스의 광기는 육체적, 정신적 손상을 야기해 그녀를 궁정의 왕비로서 더 이상 기능하지 못하게 만들기에 특히 문제적이다. 따라서 『오르페오 경』의 “행복한” 결말은 왕실의 관점에서는 만족스럽지 못한데, 이는 시 전체를 지배하는 서사의 모호성과 손상된 이분법적 질서에 대한 테마적 관심사가 표현된 결과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