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글로벌 시대 동북아시아에서는 19세기 촉발된 영토분쟁(territorial dispute)의 미해결로 정치적 및 외교적으로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대다수 영토분쟁에 대한 연구는 역사적 맥락과 정치경제적, 국제법적 해결방안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하지만 이런 연구는 영토분쟁의 근원적인 차원에서 영토분쟁을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런 측면에서 미해결 영토분쟁에 대한 힘의 논리에 근거한 정치군사적 대결 분석도 중요하겠지만 정치문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분석해보는 것은 영토문제를 둘러싼 갈등의 원인을 이해하고 집단적 심리를 이해하는 측면에서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일본의 강제병합에 의한 주권상실과 분단을 경험하고, 오늘날까지 한일관계 정상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독도를 둘러싼 영토문제와 역사문제에 대해 내재된 한국인의 집단적 심리와 갈등을 분석하기 위해서 당대의 문화와 언어가 반영되어 있는 근현대사를 다룬 문학작품을 고찰하였다. 한반도와 만주지역을 중심으로 식민주의와 영토팽창과 분단으로 인해 이념·경제·문화·민족주의적 대립이 반복되면서 교차된 가해와 피해의 기억은 분쟁이 지속되는 주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In Northeast Asia, political and diplomatic disputes have continued given the unresolved territorial disputes which arose during the 19th century under the Global Era.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unresolved territorial disputes based on the literary view from a humanistic approach based on a political and cultural perspective rather than a confrontation based on the logic of power. In particular,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ive psychology and conflict of the Koreans who experienced the loss of sovereignty and division due to Japan’s forced annexation, and the territorial expansion and historical issues surrounding the Island of Dokdo, which has been an obstacle to the normalization of the Korea-Japan relations to this day, the culture of the time literature works dealing with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at reflect the culture and language have been considered.